False faith and real faith The spirit of slavery and the spirit of freedom 거짓 믿음과 진짜 믿음 종의 영과 자유의 영
False faith and real faith The spirit of slavery and the spirit of freedom
거짓 믿음과 진짜 믿음 종의 영과 자유의 영
Einstein says that all time and spac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distorted by strong gravity and mass.
아인슈타인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시간과 공간이 강한 중력과 질량에 의해 왜곡된다고 말합니다.
Distortion of space-time: Einstein argued that mass and energy bend or distort the four-dimensional continuum called space-time. This is like a heavy ball pressing down on a trampoline
Time dilation: Time passes more slowly near strong gravitational fields. This is called ‘gravitational time dilation’.
시공간 왜곡: 아인슈타인은 질량과 에너지가 시공간이라는 4차원 연속체를 휘거나 왜곡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무거운 공이 트램폴린을 누르는 것과 같습니다
시간 팽창: 강한 중력장 근처에서는 시간이 더 느리게 흐릅니다. 이를 '중력 시간 팽창'이라고 합니다.
Past, present, future: According to Einstein's theory, past, present, and future are not independent entities but are interconnected within the space-time continuum. The viewpoint may vary relative to the observer's movement or position.
과거, 현재, 미래: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르면 과거, 현재, 미래는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라 시공간 연속체 내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찰자의 움직임이나 위치에 따라 관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In other words, Einstein believed that strong gravity and mass distort time and space itself, and that this phenomenon occurs within a space-time continuum encompass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즉, 아인슈타인은 강한 중력과 질량이 시간과 공간 자체를 왜곡시키며, 이러한 현상은 과거, 현재, 미래를 포괄하는 시공간 연속체 내에서 발생한다고 믿었다.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it is explained that the process by which humans sense and perceive the external world is not a process of accepting objective reality as is, but a process of being actively 'reconstructed' or 'interpreted' by the brain. In this sense, one may use the expression 'distortion'.
신경과학 분야에서는 인간이 외부 세계를 감지하고 인지하는 과정은 객관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아니라, 뇌가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거나 '해석'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이런 의미에서 '왜곡'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expression “the world is all a lie and an illusion” can be seen as a rather powerful summary of the fundamental tenets of Buddhism. This is especially connected to teachings such as “one mind and body,” “emptiness,” and **“the impermanence of all actions.”**
“세상은 모두 거짓이고 환상이다”라는 표현은 불교의 근본 교리를 강력하게 요약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일심신”, “공”, **“모든 행위의 무상함”**과 같은 가르침과 관련이 있습니다.
One mind at a time
It is a core tenet that means “everything in the world is created only by the mind.” The reality we experience comes from the operation of the mind, meaning that there is no entity that exists independently outside the mind. Master Wonhyo's 'skull water' anecdote is often cited as an example to easily explain this teaching. This is a story about how the water he drank out of thirst the next morning, after realizing it was skeleton water, made him vomit, and he realized that both likes and dislikes depend on the mind.
한 번에 한 마음
“세상의 모든 것은 오직 마음에 의해서만 창조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핵심 교리입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마음의 작용에서 비롯됩니다. 즉, 마음 밖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는 없다는 뜻입니다. 이 가르침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원효대사의 '해골수' 일화가 자주 인용된다. 다음날 아침 목이 말라 마신 물이 해골물이라는 것을 알고 토하게 되고,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마음에 달려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 이야기이다.
Emptiness (空, Sunyata)
It is a teaching that there is no fixed entity (self) in all phenomena. In other words, all beings in the world do not exist independently, bu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interconnected. “Empty”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thing, but that there is no eternal, unchanging essence. It is because of foolishness (tamjinchi three poisons) that we mistakenly believe it exists, and this illusion is one of the root causes of suffering.
공허함(空, Sunyata)
모든 현상에는 고정된 존재(자아)가 없다는 가르침이다. 즉, 세상의 모든 존재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상호 연결되어 있다. 비어 있다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 아니라,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본질이 없다는 뜻이다. 우리가 존재한다고 잘못 믿는 것은 어리석음(탐진치삼독) 때문이며, 이 착각은 괴로움의 근본 원인 중 하나입니다.
Impermanence of all actions is one of the core teachings of Buddhism, which means, as you said, “nothing that has been created is impermanent.” It preaches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have the nature of constantly changing and disappearing.
This has interesting similarities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Law of Increased Entropy)** in Western science.
모든 행위의 무상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당신이 말했듯이 "창조된 것은 무상하다"는 의미입니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끊임없이 변하고 사라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설교합니다.
이는 서양 과학의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증가의 법칙)**과 흥미로운 유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Entropy increases: The total entropy (disorder) of the universe always tends to increase. It describes the tendency of all phenomena in nature to change from ordered to disordered, from usable energy to unusable energy.
Similarities:
Humans aging and dying, machines aging, and buildings rusting are all part of the process of increasing entropy.
엔트로피 증가: 우주의 총 엔트로피(무질서)는 항상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모든 현상이 질서 있는 에너지에서 무질서한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에서 사용할 수 없는 에너지로 바뀌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유사점:
인간이 늙고 죽는 것, 기계가 늙어가는 것, 건물이 녹슬는 것 등은 모두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Ultimately, the prediction that the Earth and the entire universe will reach the end time according to this law is in line with the teaching of 'the impermanence of all things'.
결국 이 법칙에 따라 지구와 우주 전체가 종말에 이를 것이라는 예언은 '만물의 무상함'의 가르침과 일치한다.
This perspective allows us to face the reality that the objects we expect to be eternal are constantly changing and disappearing, and explains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illusion’ or ‘transience’ we feel. It contains deep reflections on letting go of attachment to impermanent things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all things.
이러한 관점은 우리가 영원하기를 기대하는 사물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사라지고 있다는 현실을 직시하게 하며, 우리가 느끼는 '환상'이나 '무상'의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해준다. 무상한 것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만물의 성품을 이해하는 데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습니다.
False Faith and True Faith: The Bible distinguishes between human faith (imperfect and regrettable faith) and God's true faith that saves.
거짓 믿음과 참 믿음: 성경은 인간의 믿음(불완전하고 후회할 만한 믿음)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참 믿음을 구별합니다.
The information we receive is always incomplete and subject to purposeful distortions (e.g. distortion of history, false propaganda).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humans, what we currently believe to be true may be empty pseudoscience.
우리가 받는 정보는 항상 불완전하며 의도적인 왜곡(예: 역사 왜곡, 허위 선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래 인류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은 공허한 사이비과학일 수도 있습니다.
Errors in memory: Memories can become altered or distorted over time, affecting what we believe to be the ‘truth’ of the past.
기억의 오류: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거나 왜곡될 수 있으며, 이는 우리가 과거의 '진실'이라고 믿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Confirmation bias: Humans tend to accept informa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ir existing beliefs and ignore or distort information that contradicts them. This further strengthens our faith.
확증 편향: 인간은 자신의 기존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자신과 모순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우리의 믿음이 더욱 강화됩니다.
The Bible says that God wants to give us a new spirit and a new heart in order to loosen our hard hearts and make us soft. This is a verse from Ezekiel 36:26, and is achieved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ho removes a heart of stone and gives a heart as soft as flesh to follow God's laws.
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새 영과 새 마음을 주셔서 우리의 굳은 마음을 풀어주고 온유하게 하시기를 원하신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에스겔 36장 26절 말씀이며, 돌 같은 마음을 제거하고 살과 같은 마음을 주시고 하나님의 법을 따르게 하시는 성령의 역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The ‘spirit of slavery’ and ‘spirit of freedom’ (or ‘spirit of adoption’) that Paul speaks of are important biblical teachings about the identity and way of life of Christians.
바울이 말하는 '종의 영'과 '자유의 영'(또는 '양자의 영')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삶의 방식에 대한 중요한 성경적 가르침입니다.
Spirit of Slavery
Characteristics: This spirit causes people to feel fear and a sense of restraint and coercion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Background: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state of being under the law. The law convicts and condemns sin (Romans 8:15), which causes people to live in constant fear of judgment and punishment.
Result: enslaved by the law of sin and death, unable to enjoy true freedom.
노예의 정신
특징: 이 영은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두려움과 구속감, 강압감을 느끼게 만듭니다.
배경: 주로 법 아래 있는 상태에 관심이 있습니다. 율법은 죄를 정죄하고 정죄하므로(로마서 8:15), 이로 인해 사람들은 심판과 형벌에 대한 끊임없는 두려움 속에 살게 됩니다.
결과는 죄와 사망의 법에 종노릇하여 참된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Spirit of Liberty or Spirit of Adoption
Characteristic: Paul says in Romans 8:15, “For you have not received a spirit of bondage, which leads to fear, but you have received a spirit of adoption, where we cry, ‘Abba, Father!’” Additionally, 2 Corinthians 3:17 declares, “Where the Spirit of the Lord is, there is freedom.”
자유의 정신 또는 입양의 정신
특징: 바울은 로마서 8장 15절에서 “너희는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아바 아버지라 부르짖느니라”고 말합니다. 또한 고린도후서 3장 17절에서는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함이 있느니라”고 선언합니다.
In conclusion, Paul emphasizes that Christians are no longer under the 'spirit of slavery' confined by the condemnation and fear of the law, but have received the 'spirit of freedom' that they enjoy as children of God in the Holy Spirit.
결론적으로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이 더 이상 율법에 대한 정죄와 두려움에 갇힌 '종의 영' 아래 있지 않고, 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자녀로서 누리는 '자유의 영'을 받았다고 강조합니다.
Distortion of memory: Memory is not perfect, and over time it can naturally become distorted or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meaning from experiences. People sometimes 'falsify' memories to support their beliefs.
Sense of belonging and security: Shared beliefs create a sense of community and provide individuals with psychological safety. By following what the majority believes, we avoid social isolation and feel secure.
기억의 왜곡: 기억은 완벽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험에서 의미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왜곡되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때때로 자신의 믿음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억을 '위조'합니다.
소속감과 안정감: 공유된 신념은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개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대다수가 믿는 것을 따름으로써 우리는 사회적 고립을 피하고 안정감을 느낍니다.
In conclusion, humans have a strong tendency to be convinced of unseen beliefs due to their survival instinct and psychological bias, but in order to approach the truth, constant critical thinking and efforts to verify are necessary.
결론적으로 인간은 생존본능과 심리적 편견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 신념을 확신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비판적 사고와 검증의 노력이 필요하다.
Characteristics of Buddhist Belief
Faith based on conviction, not blind faith: Buddhist faith is not blind faith, but is closer to the process of practicing and verifying.
불교신앙의 특징
맹목적인 믿음이 아닌 확신에 기초한 믿음: 불교신앙은 맹목적인 믿음이 아니라 실천하고 검증하는 과정에 더 가깝습니다.
Truth as the Foundation of Salvation
Not blind faith: Christian faith is not simply a compulsion to believe something. Rather, it is based on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hich are presented as key evidence of Christian tru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aving faith includes the element ‘knowledge’ (notitia).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know and understand what the object of faith is and the content of salvation.
구원의 기초로서의 진리
맹목적인 믿음이 아닙니다. 기독교 신앙은 단순히 무언가를 믿으라는 강요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기독교 진리의 주요 증거로 제시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지식과 이해: 구원받는 믿음에는 '지식'(notitia)이라는 요소가 포함됩니다. 즉, 믿음의 대상이 무엇인지, 구원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The meaning of “If you would follow me, take up your cross and deny yourself”
These words are Jesus' core teachings recorded in Matthew 16:24, Mark 8:34, and Luke 9:23, and are a demand for the life of a disciple after faith, which is the beginning of salvation.
“나를 따르려거든 자기 십자가를 지고 자기를 부인하라”는 말씀의 의미
이 말씀은 마태복음 16장 24절, 마가복음 8장 34절, 누가복음 9장 23절에 기록된 예수님의 핵심 가르침이며, 구원의 시작인 믿음 이후의 제자의 삶에 대한 요구이다.
The interpretation of “calling for resistance to Satan, who is prepared to die in the material world dominated by Satan, who has taken control of the power of the air,” is connected to a passage in the Bible where Satan is called “the prince of the power of the air” (Ephesians 2:2).
This interpretation expands and explains the cross as a symbol of a spiritual battle that goes beyond simple personal suffering and resists and fights against the values and order of the world dominated by Satan. Although this is within the scope of general biblical interpretation, it can be seen as an emphasized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a more militant and spiritual confrontation.
“사단이 공중의 권세를 잡은 이 물질계에서 죽기 위하여 예비한 사단을 대적하라”는 해석은 성경에서 사탄을 “공중의 권세 잡은 자”(에베소서 2:2)라고 부르는 구절과 연결됩니다.
이러한 해석은 십자가를 단순한 개인의 고난을 넘어 사탄이 지배하는 세상의 가치관과 질서에 맞서 싸우는 영적 전쟁의 상징으로 확장·설명한다. 이는 일반적인 성경해석의 범위에 속하지만, 보다 전투적이고 영적인 대결에 초점을 맞춘 강조된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Self-denial: Jesus Christ said, “If anyone would come after me, let him deny himself, take up his cross, and follow me” (Matthew 16:24, etc.). This means setting aside one’s selfish desires, worldly ambitions, and physical comforts and making God’s will and values our top priority. The 'matter and gravity controlled by Satan, animal instincts, and unconsciousness' mentioned by the user can be seen as symbolic expressions of worldly or instinctive desires that can become the object of such self-denial.
자기 부인: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마태복음 16:24 등)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자신의 이기적인 욕망, 세상적인 야망, 육체적인 안락을 버리고 하나님의 뜻과 가치관을 최우선으로 삼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언급한 '사탄이 조종하는 물질과 중력, 동물적 본능, 무의식'은 이러한 자기 부정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세속적, 본능적 욕망의 상징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Sacrifice and acceptance of suffering: The cross was an instrument of execution during Roman times that symbolized extreme suffering and death. Therefore, carrying the cross symbolizes dedication and sacrifice, and the willingness to endure the difficulties, persecution, suffering, and even martyrdom that inevitably follow the path of following Christ. This is not the comfortable and easy life of false faith,
It is a decision to choose the path of suffering for true faith.
희생과 고통의 수용: 십자가는 로마 시대에 극심한 고통과 죽음을 상징하는 처형 도구였습니다. 그러므로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헌신과 희생을 상징하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길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어려움, 박해, 고통, 심지어 순교까지도 기꺼이 견디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이것은 거짓된 믿음의 편안하고 쉬운 삶이 아니라,
참된 믿음을 위해 고난의 길을 선택하는 결단입니다.
Characteristics and fake beliefs of Satan’s false religious leaders
Easy and Sweet Message: False religious leaders deceive people with sweet words and teachings that tickle the ears. They hide the inconvenient aspects of the truth and present an easy-to-follow path that promises human-centered, worldly benefits.
Disguise: Just as Satan disguises himself as an ‘angel of light’, his workers also disguise themselves as ‘ministers of righteousness’ or leaders of outstanding faith. Without spiritual discernmen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ruth and lies.
사탄의 거짓 종교 지도자들의 특징과 가짜 신앙
쉽고 감미로운 메시지: 거짓 종교 지도자들은 귀를 즐겁게 하는 감미로운 말과 가르침으로 사람들을 속입니다. 그들은 진실의 불편한 면을 감추고 인간 중심, 세상의 이익을 약속하는 알기 쉬운 길을 제시합니다.
변장: 사탄이 자신을 '빛의 천사'로 가장하는 것처럼, 그의 일꾼들도 자신을 '의의 일꾼', 즉 뛰어난 믿음의 지도자로 가장합니다. 영적인 분별력이 없으면 참과 거짓을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Faith without action: False faith remains a formal faith that is not followed by concrete actions or changes in life. When trials such as storms or difficulties occur, their laxity is revealed and they easily break down.
행동 없는 믿음: 거짓 믿음은 구체적인 행동이나 삶의 변화가 따르지 않는 형식적인 믿음으로 남아 있습니다. 폭풍이나 어려움 같은 시련이 닥치면 그 해이함이 드러나고 쉽게 무너집니다.
Narrow Gate and Narrow Way: Jesus said that the road to salvation is a ‘narrow gate’ and that the road is ‘narrow and narrow and few find it.’ On the other hand, the gate that leads to destruction is wide and the road is wide, and many people enter through it. This means that the path to true faith is never easy.
좁은 문과 좁은 길: 예수님께서는 구원에 이르는 길은 ‘좁은 문’이며 그 길은 ‘좁고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반면에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는 참된 믿음으로 가는 길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 life of action: True, living faith is demonstrated through practical actions. This path goes beyond simply knowing intellectually, and requires efforts to practice and take action in the field of life.
In summary, as the user said, false faith looks attractive and easy on the surface but eventually falls apart, while true faith is a process of true change that is completed through perseverance and sacrifice while enduring a narrow and difficult path.
행동하는 삶: 참되고 살아있는 믿음은 실제적인 행동을 통해 나타납니다. 이 길은 단순히 지적으로 아는 것을 넘어 삶의 현장에서 실천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요약하자면, 사용자의 말처럼 거짓 믿음은 겉보기에 매력적이고 쉬워 보이지만 결국 무너지고 있는 반면, 참 믿음은 좁고 어려운 길을 견디며 인내와 희생을 통해 완성되는 참된 변화의 과정입니다.
False Self and False Belief
False Self:
Definition: A self-image formed based on accomplishments or external factors. Unlike the True Self, it refers to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being led by Satan's temptations or worldly values.
characteristic:
Performance-oriented: Find your value in your accomplishments, status, and possessions.
Extrinsic motivation: Focused on seeking approval from others or worldly success.
Separation: Feeling spiritual emptiness as we become separated from our original God-given self.
거짓 자아와 거짓 믿음
거짓 자아:
정의: 성취나 외부 요인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아상. 참 자아와 달리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분리되어 사탄의 유혹이나 세상적 가치관에 이끌려가는 상태를 말합니다.
특성:
성과 지향: 성취, 지위, 소유물에서 가치를 찾으세요.
외적 동기: 다른 사람의 승인이나 세상적인 성공을 추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분리: 하나님께서 주신 본연의 자아로부터 분리되면서 영적인 공허함을 느끼는 것입니다.
Consequences of a false self:
Identity confusion: Wandering deep inside, unable to discover your true self.
Collapse of identity: When external circumstances or achievements collapse, the very foundation of one's existence is shaken, and one may experience severe confusion or crisis.
거짓 자아의 결과:
정체성 혼란: 내면 깊은 곳을 헤매며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지 못합니다.
정체성의 붕괴: 외부 환경이나 업적이 무너지면 자신의 존재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심각한 혼란이나 위기를 겪게 됩니다.
False Belief:
This probably refers to a faulty belief system that leads to the formation of a false self. For example, this might include a belief such as “I am only worthy if I achieve something.”
잘못된 믿음:
이것은 아마도 거짓 자아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잘못된 신념 체계를 의미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기에는 "나는 무엇인가를 성취해야만 가치 있는 사람이다"와 같은 믿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The true self that the Bible speaks of is found in Jesus Christ, and through 'self-denial', which admits one's sinfulness and denies the past self, one discovers the new self given by God. This is the process of finding one's identity in a relationship with God, not in accomplishments, and becoming like the image of Christ.
성경이 말하는 참된 자아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되며, 자신의 죄성을 인정하고 과거의 자아를 부인하는 '극기'를 통해 하나님께서 주신 새로운 자아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는 성취가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는 과정이다.
In Buddhism, 'true self' means the essential and pure self that goes beyond the individual self, and is 'pure awareness' which is the source of thoughts, emotions, and five senses. This is the core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Buddhism, it is also called 'nirvana' or 'Buddha nature', and it is believed that full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the true self is the path to enlightenment.
불교에서 '진정한 자아'는 개인의 자아를 넘어서는 본질적이고 순수한 자아를 뜻하며, 생각과 감정, 오감의 근원이 되는 '순수한 자각'이다. 이것이 불교 깨달음의 핵심이다. 불교에서는 이를 '열반' 또는 '불성'이라고도 하며, 참된 자아를 온전히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Characteristics of the Self
Essential Self: Not what you normally think of as ‘me’, but the pure sense of being before thoughts and emotions arise.
Reality of Enlightenment: Awareness of one's true self is enlightenment, and is also called 'Buddha nature.'
Pure and pure: Self refers to an inherently pure and comfortable state that is not tainted by pain or suffering.
Oneness with the universe: When you penetrate into the source of existence through your true self, you feel that you and the universe are one.
자아의 특성
본질적인 자아: 일반적으로 '나'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감정이 일어나기 전의 순수한 존재감입니다.
깨달음의 실체: 자신의 참된 자아를 아는 것이 깨달음이며, '불성'이라고도 합니다.
순수하고 순수한: 자아는 고통이나 괴로움으로 오염되지 않은 본질적으로 순수하고 편안한 상태를 말합니다.
우주와의 일체감: 참나를 통해 존재의 근원에 꿰뚫어볼 때 자신과 우주가 하나임을 느끼게 됩니다.
Satan's Role: Satan tempts and deceives humans (especially Adam and Eve) into disobeying God. As the user said, this could be a way to delve into the weaknesses of human nature, 'animal instincts', or unconscious desires.
사탄의 역할: 사탄은 인간(특히 아담과 하와)을 유혹하고 속여서 하나님께 불순종하게 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말처럼 인간 본성의 약점이나 '동물적 본능', 혹은 무의식적인 욕망을 파헤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Satan's deception and sin: In Christianity, human sin is the fundamental corruption caused by falling for Satan's deception and disobeying God. Because of this, human nature has been polluted and has become impossible to be saved through one's own efforts.
사탄의 미혹과 죄: 기독교에서 인간의 죄는 사탄의 미혹에 빠져 하나님께 불순종함으로써 초래되는 근본적인 부패이다. 이로 인해 인간의 본성은 오염되었으며, 자신의 노력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New soul/self restored in Christ: Salvation is not possible through human efforts or finding a ‘pure soul’ within, but only through faith in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The ‘new self restored in Christ’ refers to a change in status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o be reborn as a completely new being, and this is a gift given by God’s grace.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새로운 영혼/자아: 구원은 인간의 노력이나 내면의 '순수한 영혼'을 통해서는 가능하지 않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속죄를 믿음으로써만 가능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새 사람’은 성령의 역사를 통해 신분이 변화되어 완전히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이다.
True Faith: True faith involves living in relationship with God based on this new identity, standing on the firm foundation of the gospel beyond emotions and feelings.
참된 믿음: 참된 믿음은 감정과 느낌을 넘어 복음의 확고한 기초 위에 서서 이 새로운 정체성을 바탕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rue self' refers to **the pure self before thoughts and emotions arise, that is, the 'original face'**, and the ultimate goal is to find this, gain enlightenment, and achieve liberation.
불교적 관점에서 '진정한 자아'란 **생각과 감정이 생기기 전의 순수한 자아, 즉 '본래의 얼굴'**을 말하며, 이를 찾아 깨달음을 얻고 해탈을 이루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