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two types of souls. One is the slave spirit, the evil spirit of Satan Lucifer. The other is the spirit of God's adoption. The spirit of slavery is the spirit of Satan that makes us afraid. Paul explained further what he meant by saying that the Spirit of God saves us. 영혼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하나는 노예의 영, 곧 사탄 루시퍼의 악한 영입니다. 다른 하나는 하나님의 양자 됨의 영입니다. 종의 영은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사탄의 영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를 구원하신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더 설명했습니다.

There are two types of souls. One is the slave spirit, the evil spirit of Satan Lucifer.   The other is the spirit of God's adoption. The spirit of slavery is the spirit of Satan that makes us afraid.

Paul explained further what he meant by saying that the Spirit of God saves us.


영혼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하나는 노예의 영, 곧 사탄 루시퍼의 악한 영입니다.   다른 하나는 하나님의 양자 됨의 영입니다. 종의 영은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사탄의 영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를 구원하신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더 설명했습니다.



The spirit of slavery is the spirit of Satan that makes us afraid. In other words, it is the carnal mind spoken of in Romans 8:6.


종의 영은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사탄의 영입니다. 즉, 로마서 8장 6절에서 말하는 육신의 생각입니다.



People say the world has improved, but in reality, the environment is becoming so messed up that we don't even want to imagine.

사람들은 세상이 좋아졌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환경이 엉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Compared to pre-industrial times (1750):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h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51%. 

Compared to 20 years ago (2004): As of 2023,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11.4%.


산업화 이전 시대(1750년)와 비교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151% 증가했습니다. 

20년 전(2004년)과 비교하면 2023년 기준 약 11.4% 증가했다.


Compared to 50 years ag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has increased by more than 50%.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ich was around 280ppm before industrialization, has now exceeded 420ppm. 


A polluted environment causes people to become stressed and even their consciousness is polluted.

50년 전과 비교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50% 이상 증가했다. 산업화 이전에는 280ppm 안팎이던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는 420ppm을 넘어섰다. 


오염된 환경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의식마저 오염시킵니다.



In the past, people were less wary of each other than they are now.


The reason why the era of 2025 has arrived, where we must be vigilant, suspicious, and equipped with CCTV, is because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nd the law of entropy increase pollute and age the universe, Earth, and humans, leading to satanic disorder.


과거에는 사람들이 지금보다 서로에 대해 덜 경계했습니다.


경계하고 의심하고 CCTV를 갖춰야 하는 2025년 시대가 도래한 이유는 열역학 제2법칙과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 우주와 지구와 인간을 오염시키고 늙게 하여 사탄의 무질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It was a long time ago, but when I was young, summer wasn't this hot. The natural environment at that time was much cleaner and clearer than it is now.


오래전 일이지만 제가 어렸을 때는 여름이 이렇게 덥지 않았거든요. 당시의 자연환경은 지금보다 훨씬 깨끗하고 맑았습니다.


The phenomenon of romanticism disappearing over time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or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states that disorder, or randomness, increases over time in an isolated system. This is like how no matter how clean your room is, dust will accumulate over time and it will naturally become disorganized.


시간이 지나면서 낭만주의가 사라지는 현상은 열역학 제2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은 고립된 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질서 또는 무작위성이 증가한다고 명시합니다. 마치 방이 아무리 깨끗해도 시간이 지나면 먼지가 쌓이고 자연스레 정리가 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Do you think it makes sense that the Spirit of God gives life to humans who are dying of old age due to the increase in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oward Satan's disorder, and saves them by violating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Christians might respond with 'Amen!', but people outside the church might think it's ridiculous or irrelevant. Even Christians may not realize it. Because we don't really feel it, aren't we who believe in Jesus really different from non-believers in reality?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증가로 인해 사탄의 무질서로 인해 늙어가는 인간에게 하나님의 영이 생명을 주시고, 열역학 제2법칙을 어겨 구원하신다는 것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기독교인들은 '아멘!'이라고 반응할 수도 있지만, 교회 밖의 사람들은 그것이 우스꽝스럽거나 무관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그리스도인들도 그것을 깨닫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실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현실의 불신자들과 정말 다르지 않습니까?

The expression “He who raised Jesus from the dead” is a phrase that appears repeatedly in the Bible, especially Romans 8:11. This expression refers to God who raised Jesus Christ from the dead, and it means that if the Spirit of God dwells in us, he will raise even the mortal body by violating the law of increase in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라는 표현은 성경, 특히 로마서 8장 11절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구입니다. 이 표현은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하나님을 말하며, 하나님의 영이 우리 안에 거하시면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을 어겨 죽을 몸도 다시 살리신다는 뜻입니다.


But it seems like this doesn't actually happen in our lives. We often get sick, disappointed, grow old, sometimes depressed, and then die. Some people are out of breath because they are weighed down by the weight of life that they cannot bear. To them, the words, “He will give life even to your mortal bodies,” sound empty. Or, I think it means, ‘After you die, you go to heaven.’

하지만 실제로 우리 삶에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병들고, 실망하고, 늙고, 때로는 우울해지고,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삶의 무게에 짓눌려 숨이 차기도 합니다. 그들에게는 “그가 너희 죽을 몸까지 살리시리라”는 말이 공허하게 들립니다. 아니면 '죽은 후에 천국에 간다'는 뜻인 것 같아요.


We do not yet know what it really means to live by the Spirit of God in a mortal body.  To be precise, this does not mean that we do not know, but that the world is mysterious and cannot be explained by the logic that we experience every day in the world. Therefore, we must learn the teachings of the Bible more deeply.

우리는 죽을 몸 안에서 하나님의 영으로 산다는 것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알지 못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가 모른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은 신비롭고 세상에서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배워야 합니다.




When you become a spiritual adult, you will know what that means. In verse 14 of the text, Paul explained a little more what it means to say that the Spirit of God saves us.


영적인 어른이 되면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본문 14절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영이 우리를 구원하신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좀 더 설명했습니다.


Everyone who is led by the Spirit of God is the son of God.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누구나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Here, the Spirit of God is the Holy Spirit. The person who is guided by the Holy Spirit is the son of God. To become a son of God is to gain life. It goes without saying. Since God is the creator of life and the perfecter of life, if you become a son or daughter of God, you will naturally receive life. That life is not just about breathing, eating, and excreting here.


여기서 하나님의 영은 성령이시다. 성령의 인도를 받는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은 생명을 얻는 것입니다.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하나님은 생명의 창조자이시며 생명의 완성자이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아들딸이 되면 자연히 생명을 받게 됩니다. 그 삶은 이곳에서 숨쉬고, 먹고, 배설하는 것만이 아니다.


God's eternal life is something that does not disappear even after death or the form of life ends. Becoming a son of God is not a reality but a metaphor. This points to a special relationship with God. Therefore, the life that the Bible talks about must be thought of in terms of relationships, not in terms of possessions.


하나님의 영생은 죽음이나 생명의 형태가 끝난 뒤에도 사라지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이 된다는 것은 현실이 아니라 비유입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성경이 말하는 삶은 소유의 관점이 아니라 관계의 관점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Orchestrated Objective Reduction (Orch OR) proposes the hypothesis that human consciousness is related to quantum phenomena occurring in the brain's microtubules and that consciousness exists in the form of quantum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theory, even when the brain dies, quantum information does not disappear but spreads out into space, and when revived, it returns to the microtubules and can resume conscious experience. In other words, this theor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oul exists in the form of quantum information and can persist even after death without being destroyed.


Orch OR(Orchestrated Objective Reduction)은 인간의 의식이 뇌의 미세소관에서 발생하는 양자 현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의식이 양자 정보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안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뇌가 죽어도 양자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우주로 퍼져나가고, 다시 살아나면 미세소관으로 돌아와 의식적 경험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 이론은 영혼이 양자정보의 형태로 존재하며, 죽은 후에도 파괴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explains that in a system isolated from the outside, energy is not destroyed but only changes form. In Buddhism, reincarnation is also explained in relation to this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In other words, the body dies, but the energy, or life force, changes into another being and reincarnate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is nirvana, escaping from reincarnation, but it is believed that during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karma from previous lives affects the present life.


에너지 보존 법칙은 외부와 격리된 계에서는 에너지가 소멸되지 않고 형태만 바뀔 뿐이라고 설명합니다. 불교에서도 환생을 에너지 보존 법칙과 관련하여 설명합니다. 즉, 몸은 죽지만 에너지, 즉 생명력은 다른 존재로 변화하여 환생하는 것이다. 불교의 궁극적 목표는 환생에서 벗어나 열반이지만, 환생 과정에서 전생의 업이 현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based on the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which denies the disappearance of energy and states that the total amount of energy always remains constant. However,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emphasizes the qualitative change and direction of energy. In other words, even if the total amount of energy does not change, the amount of useful energy decreases and disorder (entropy) tends to increase in the process of using energy.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에너지의 소멸을 부정하고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의 질적 변화와 방향을 강조합니다. 즉, 에너지의 총량이 변하지 않더라도 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유용에너지의 양은 감소하고 무질서(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entropy) and Buddhism may seem unrelated at first glance, but the connection can be found in several respect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states that the entropy (disorder) of an isolated system tends to increase.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everything in the universe gradually collapses and becomes disordered over time. Buddhism explains this aspect of change as impermanence and teaches that all being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that nothing is permanent.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의 법칙)과 불교는 언뜻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여러 면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열역학 제2법칙은 고립계의 엔트로피(무질서)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주의 모든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붕괴되고 무질서해진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측면을 무상(無常)으로 설명하고 모든 존재는 끊임없이 변하며 영원한 것은 없다고 가르칩니다.


The reason I do not believe in Buddhism is because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entropy increase, leads to satanic disorder, and ultimately leads to death without salvation.


내가 불교를 믿지 않는 이유는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 사탄의 혼란을 초래하고, 결국 구원받지 못한 채 죽음에 이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about what happens within the physical universe when Satan Lucifer controls the matter of the universe.  The God of Jesus Christ is not a part of this universe, but the Creator of this universe.


열역학 제2법칙은 사탄 루시퍼가 우주의 물질을 통제할 때 물리적 우주 내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한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은 이 우주의 일부가 아니라 이 우주의 창조주이십니다.


Second law of thermodynamics2)


The second law is also called the ‘law of increasing disorder’. The term entropy) is used in relation to the second law, meaning that the universe continues to progress toward a disordered state. This term can be defined as a mathematical function that represents the amount of ‘disorder’ or ‘unusable energy’ within a certain system. The second law states that in any system entropy increases or tends to increase. What this law suggests is that ultimately the universe will die.


열역학 제2법칙2)


두 번째 법칙은 '무질서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엔트로피(Entropy)라는 용어는 제2법칙과 관련하여 사용되는데, 이는 우주가 무질서한 상태를 향해 계속해서 진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특정 시스템 내에서 '무질서' 또는 '사용할 수 없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수학 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법칙은 모든 시스템에서 엔트로피가 증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법칙이 시사하는 바는 궁극적으로 우주는 멸망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The first and second laws are universal laws, but no one knows why these laws are established or whether they always apply the same everywhere, and no scientist can determine the cause and substance of them.


The theory of evolution in biology means that an organism progresses to a more complex and more developed state, but strictly speaking, the theory of evolution is directly opposed to these two universal laws.


제1법칙과 제2법칙은 보편적인 법칙이지만, 이 법칙이 왜 제정되었는지, 어디에서나 항상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그 원인과 실체를 규명할 수 있는 과학자도 없습니다.


생물학에서 진화론은 유기체가 더 복잡하고 더 발전된 상태로 진보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진화론은 이 두 가지 보편적 법칙에 정면으로 반대됩니다.

Biblical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Thermodynamics


According to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the universe 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by itself, but is eternal.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universe is dying and will die someday. When these two laws are applied together, it leads to a strange phenomenon in which the future of the universe is destroyed forever, which is called heat death.


열역학 법칙에 대한 성경적 이해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우주는 스스로 생성되거나 파괴될 수 없고 영원하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우주는 죽어가고 있으며 언젠가는 죽을 것이다. 이 두 법칙을 함께 적용하면 우주의 미래가 영원히 파괴되는 이상한 현상, 즉 열사병이 일어난다.


This state of heat death means that the high-unit energy bodies of stars such as the sun in the universe are burned out, spreading the entire space in a uniformly low temperature state, and although the energy does not disappear, it falls into a state of death in which no work can be done.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se two laws have special meaning. If the universe has been operating in this state since eternity, it must already be dead. Since the universe is not dead yet and is dying within time, time must have a starting point.


이러한 열사상태란 우주에 있는 태양과 같은 별의 고단위 에너지체가 타버려 공간 전체가 균일하게 낮은 온도 상태로 퍼지게 되고, 에너지가 사라지지는 않지만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는 죽음의 상태에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 두 법칙은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우주가 영원부터 이런 상태로 운영되어 왔다면, 우주는 이미 죽어 있어야 합니다. 우주는 아직 죽지 않았고 시간 속에서 죽어가고 있기 때문에 시간에는 출발점이 있어야 한다.


Therefore, the second law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the universe consisting of time, space, and matter must have a ‘beginning’ to maintain at least its current form. Moreover, the first law clearly shows that the universe could not have started on its own.


그러므로 제2법칙은 시간, 공간, 물질로 구성된 우주가 적어도 현재의 형태를 유지하려면 '시작'이 있어야 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게다가 제1법칙은 우주가 스스로 시작될 수 없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Satan Zombie Illuminati Subcontracted Zombie Scientists continue to falsely claim that life arose by itself and the universe arose by itself, but Harvard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providing fake education through brainwashing.


사탄 좀비 일루미나티 하청 좀비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생명이 스스로 생겨났고 우주도 스스로 생겼다는 잘못된 주장을 계속하고 있는데, 하버드대와 서울대는 세뇌를 통해 가짜 교육을 하고 있다.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laws of thermodynamics seem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they are actually laws that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The first law is the 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which means that the energy of the entire universe remains constant. In other words, energy does not create or disappear; it only changes form.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aw i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which indicates the tendency for the disorder of an isolated system to increase. This means that over time, energy changes from useful forms to less useful forms, and the overall order of the universe decreases.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은 언뜻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주의 생성과 진화의 서로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법칙이다. 첫 번째 법칙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이는 우주 전체의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사라지지 않습니다. 단지 형태만 바뀔 뿐입니다. 한편, 제2법칙은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고립계의 무질서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가 유용한 형태에서 덜 유용한 형태로 변하고 우주의 전반적인 질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e two laws is as follows. The total amount of energy in the universe remains constant, but as energy changes from usable to unusable forms, the universe becomes increasingly disordered. In other words, the first law shows that the universe had energy at the time of creation, and the second law explains the process by which that energy changes chaotically over time.


이 두 법칙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다음과 같다. 우주의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에너지가 사용 가능한 형태에서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우주는 점점 더 무질서해집니다. 즉, 제1법칙은 우주가 창조 당시 에너지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제2법칙은 그 에너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혼란스럽게 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Why this seems like a contradiction:

First Law: Conservation of Energy:

The fact that the universe cannot create its own energy suggests that it needs an external source or starting point for creation. It seems as if you can't create something from nothing.


이것이 모순처럼 보이는 이유:

제1법칙: 에너지 보존:

우주가 스스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다는 사실은 우주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외부 소스나 출발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Second Law: Entropy increases:

The fact that the universe cannot maintain order on its own and becomes disordered over time suggests that some driving force was at work during the evolution after creation. It seems as if order cannot arise from disorder.


제2법칙: 엔트로피 증가:

우주가 스스로 질서를 유지할 수 없고 시간이 지나면서 무질서해진다는 사실은 창조 이후 진화 과정에서 어떤 원동력이 작용했음을 암시한다. 무질서에서는 질서가 나올 수 없는 것 같습니다.


When the Bible illuminates true science, the cause of the universe's existence and its present and future state are clearly revealed. The Bible has long predicted that two laws would be established, and also mentions why they become laws (Psalm 148:6).


[Word] He has established them forever and established a decree that cannot be broken (Psalm 148:6).


성경이 참된 과학을 밝혀줄 때, 우주의 존재 원인과 현재와 미래의 상태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성경은 오랫동안 두 가지 법이 정해질 것을 예언하고, 그 두 법이 법이 된 이유도 언급하고 있습니다(시편 148:6).


[말씀] 여호와께서 이를 영원히 세우시고 폐할 수 없는 명령을 정하셨도다 (시편 148:6)


Biblical Illumination on the First Law


The reason that new energy is not currently being created is because “when the seventh day came, God’s work was finished… God rested on this day from all his work that he had created and made (Genesis 2:2-3).” Likewise, the reason nothing is destroyed in the present universe is because the Creator “holds up all things by his powerful word (Hebrews 1:3).”


제1법칙에 대한 성경적 조명


현재 새 에너지가 창조되지 않는 이유는 “제칠일이 되매 하나님의 일이 다 이루었으니...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고 이 날에 안식하셨느니라”(창 2:2-3). 마찬가지로, 현 우주에서 아무것도 멸망되지 않는 이유는 창조주께서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시”기 때문입니다(히브리서 1:3).


When God finished all creation, the entire universe “saw that it was very good (Genesis 1:31).” There was no need to add or subtract any more. Accordingly, God legislated his law of preservation on his first great Sabbath, and caused all the processes of the universe to conform to this law for all eternity thereafter.


하나님께서 모든 창조를 마치셨을 때 온 우주가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 1:31). 더 이상 더하거나 뺄 필요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하나님은 그의 첫 번째 큰 안식일에 보존의 법칙을 제정하셨고, 우주의 모든 과정이 그 후 영원토록 이 법칙에 따르도록 하셨습니다.


Biblical references to the decline of the universe


Unlike the scriptures of other religions, the Bible contains many words that help us realize the serious phenomenon of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regarding the universe. Therefore, we must be certain that the Bible is the only word of the Creator.


[Word] Long ago you laid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and the heavens are the work of your hands. Heaven and earth will pass away, but you will endure forever. Like a garment, they will all grow old. Like a garment, if you change them, they will be changed. But you live forever, and your years will never end (Psalm 102:25-27).


우주의 쇠퇴에 대한 성경의 언급


다른 종교의 경전과는 달리 성경에는 우주에 관한 열역학 제2법칙의 심각한 현상을 깨닫게 해주는 말씀이 많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만이 창조주의 유일한 말씀임을 확신해야 합니다.


[말씀] 오래 전부터 주께서 땅의 기초를 두셨고 하늘도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이니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주는 영원히 계시리라. 옷처럼 그것들도 모두 낡아질 것입니다. 옷과 마찬가지로 바꾸면 바뀌게 됩니다. 그러나 당신은 영원히 살아 계시고 당신의 연대는 결코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시편 102:25-27).


[Word] Lift up your eyes to heaven, and consider the earth beneath; for the heavens will pass away like smoke, and the earth will wear out like a garment, and those who live there will die like a gnat, but my salvation will endure forever, and my righteousness will not fail (Isaiah 51:6).”


[Word] Heaven and earth will pass away, but my words will not pass away (Matthew 24:35).”


[말씀] 너희는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 아래 있는 땅을 살펴보아라. 하늘이 연기 같이 사라지고 땅이 옷 같이 해어지며 거기 거하는 자들이 각다귀 같이 죽으려니와 나의 구원은 영원히 있고 나의 의는 없어지지 아니하리라(사 51:6).”


[말씀] 하늘과 땅은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 24:35).


[Word] For the creation was subjected to futility, not willingly, but because of Him who subjected it. The hope is that the creation itself will be liberated from its bondage to corruption and attain the glorious freedom of the children of God. “For we know that the whole creation groans and travails together until now (Romans 8:20-22).”


[말씀]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케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피조물 자체도 부패의 속박에서 해방되어 하나님 자녀의 영광의 자유를 얻게 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하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롬 8:20-22).”


When we move away from the order of God's word, spiritual entropy increases according to the spiritual law that curses due to disobedience appear as disasters in nature and the ecosystem, and the disorder that inevitably leads to aging and disease appears in human history.


하나님의 말씀의 질서에서 벗어나면 불순종으로 인한 저주는 자연과 생태계에 재앙으로 나타나고, 인간 역사에는 필연적으로 늙음과 질병을 초래하는 무질서가 나타나는 영적 법칙에 따라 영적 엔트로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Paul explains the meaning of becoming the son of God in more depth using a different concept. It means that through the Spirit of God, we have become adopted children rather than slaves. This is the core of the gospel that Paul discovered in Jesus Christ. Listen to verse 15.


바울은 하나님의 아들이 된다는 의미를 다른 개념을 사용하여 더 깊이 설명합니다. 하나님의 영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종이 아니라 양자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복음의 핵심입니다. 15절을 들어보세요.


For you have not received a spirit of bondage that leads to fear, but you have received a spirit of adoption, so we cry, ‘Abba, Father!’


너희는 무서워하는 종의 영을 받지 아니하였고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니라.


There are two types of souls here. One is the slave spirit, the evil spirit of Satan Lucifer;

 The other is the spirit of God's adoption. The spirit of slavery is the spirit of Satan that makes us afraid. In other words, it is the carnal mind spoken of in Romans 8:6.


여기에는 두 가지 유형의 영혼이 있습니다. 하나는 노예 영, 사탄 루시퍼의 악령입니다.

 다른 하나는 하나님의 양자 됨의 영입니다. 종의 영은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사탄의 영입니다. 즉, 로마서 8장 6절에서 말하는 육신의 생각입니다.


A carnal mind. Revelation Chapter 13 states, “The mind of this flesh is <The number ‘666’ in Revelation 13 is the mark of the beast, meaning the name of the beast or the number of its name.”

The Bible says that “it is the instinct of the beast and of death” that a life lived according to the mind of the flesh, that is, instinctive and worldly lust, ultimately brings death and destruction, whereas a life lived according to the mind of the spirit, that i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brings life and peace.


육신적인 마음. 요한계시록 13장에는 “이 육체의 생각은 <계시록 13장의 숫자 ‘666’은 짐승의 표니 곧 짐승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수니라.”

성경은 “짐승과 사망의 본능이니라” 육신의 생각, 즉 본능과 세상 정욕을 따라 사는 삶은 결국 사망과 멸망을 가져오고, 영의 생각, 즉 성령의 인도를 따라 사는 삶은 생명과 평안을 가져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Paul viewed these carnal thoughts as death. This is because people cannot fulfill the law because their bodies are weak. If you force yourself to do something you cannot do, you end up falling into hypocrisy or arrogance. These are things that Paul experienced directly. Anxiety that he might be punished for not keeping the law perfectly dominated his soul. The more I focused on completing the law, the more difficult it became. What could this ‘obsession’ be but death? The force that drives us like this is the ‘spirit of fearful slavery.’


바울은 이러한 육신적인 생각을 죽음으로 여겼습니다. 사람은 육신이 약해서 율법을 지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할 수 없는 일을 억지로 하게 되면 결국 위선이나 오만에 빠지게 됩니다. 바울이 직접 체험한 일들입니다. 율법을 완벽하게 지키지 않아서 벌을 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그의 영혼을 지배했습니다. 법을 완성하는 데 집중할수록 더 어려워졌습니다. 이 '집착'은 죽음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우리를 이렇게 몰아가는 힘은 바로 '두려운 노예의 정신'이다.





The spirit opposite to the spirit of slavery is the Spirit of adoption.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e ‘Son of God’ mentioned in verse 14 or the ‘child of God’ mentioned in verse 16. Those who have received the spirit of adoption have gained freedom.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ose who receive the Holy Spirit are freed from physical desires and slavery to sin and gain true freedom. The Holy Spirit has the power to free us from sin and the world, and plays a role in leading us to follow God's will and practice love.>


Now we are free from fear as a species.


종의 영과 반대되는 영은 양자의 영입니다. 

 14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아들’이나 16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자녀’와 같은 의미입니다. 양자의 영을 받은 자는 자유를 얻었습니다. 

<성경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성령을 받은 자는 육신의 욕망과 죄의 종노릇에서 해방되어 참된 자유를 얻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성령님은 우리를 죄와 세상에서 해방시키는 능력을 갖고 계시며,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따르며 사랑을 실천하도록 인도하시는 역할을 하십니다.>


이제 우리는 하나의 종으로서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졌습니다.


No matter how good a servant is at his job, he is afraid of his master. He must risk his life for his work. Children of God who have received the spirit of adoption do not need recognition and are free without fear of their father.


종이 아무리 일을 잘해도 주인을 두려워합니다. 그는 자신의 일을 위해 목숨을 걸어야 한다. 양자의 영을 받은 하나님의 자녀는 인정받을 필요가 없고 아버지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습니다.


In the quantum world, particles behave without being tied to precise time as in classical mechanics. This can be seen a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quantum mechanics.

You can have a dependency relationship by interacting with atoms, or you can ignore interactions with atoms and just pass by.


양자 세계에서 입자는 고전 역학처럼 정확한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행동합니다. 이는 양자역학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Atom과 상호작용하여 의존관계를 가질 수도 있고, Atom과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그냥 지나갈 수도 있습니다.


Particles in the quantum world do not exist in only one state like in classical physics, but can exist in multiple states simultaneously.

Interactions between particles have a dependent relationship. The properties of particles are determined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 particles and do not exist independently.


 Particles can also exist freely, ignoring interactions.


양자 세계의 입자는 고전 물리학처럼 하나의 상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입자 간의 상호 작용은 종속 관계를 갖습니다. 입자의 성질은 다른 입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되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입자는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자유롭게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published research results that proved the concept of negative time through experiments. This study was previously considered unrealistic. 


It is causing a stir in the scientific community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henomenon of reversing the flow of time, that is, time moving from the future to the past, may actually exist.

토론토대학교 연구진이 실험을 통해 부정적인 시간의 개념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이전에는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시간의 흐름을 역전시키는 현상, 즉 시간이 미래에서 과거로 이동하는 현상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해 과학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In quantum mechanics, particles do not move along a fixed timeline, but the reason time can go back in time is because they can move freely, ignoring interactions with atoms.


양자역학에서 입자는 정해진 시간선을 따라 움직이지 않지만, 시간이 거꾸로 돌아갈 수 있는 이유는 원자와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Give us back time’ in Ephesians 5:16  에베소서 5장 16절의 '우리에게 시간을 돌려 주소서

"Holiness turns back time"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imeless divinity or holiness renews our time and allows us to see the present from an etern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rough a holy experience or realization, we feel as if time stops or turns back, and we can renew our time on a spiritual level.

"거룩함은 시간을 되돌린다"는 말은 시간을 초월하는 신성함이나 거룩함이 우리의 시간을 새롭게 하고 영원한 관점에서 현재를 바라보게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거룩한 경험이나 깨달음을 통해 우리는 시간이 멈추거나 되돌아가는 듯한 느낌을 받고, 영적인 차원에서 우리의 시간을 새롭게 할 수 있습니다.

The birth of life is considered a very sacred and divine event. This applies to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animals, and plant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the law that entropy increases in an isolated system. Life is a decrease in entropy, so turning back time means that life is born through God's holiness.

생명의 탄생은 매우 신성하고 신성한 사건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인간, 동물, 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에 적용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은 고립된 계에서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법칙입니


다. 생명은 엔트로피의 감소이며, 따라서 시간을 되돌린다는 것은 생명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통해 탄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Greek word 'chronos' is used to refer to natural time that just flows like our daily live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leading to disorder ruled by Satan Lucifer>

그리스어 '크로노스'는 우리 일상처럼 자연스럽게 흐르는 시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 사탄 루시퍼가 지배하는 무질서로 이어지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Kairos' is used when we can subjectively give some special meaning to objective everyday time (=chronos).

'카이로스'는 우리가 객관적인 일상의 시간(=크로노스)에 주관적으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때 사용됩니다.



In Ephesians 5:16, it says, 'Give us back time'. = That's why Paul's word is 'Kairos'.


에베소서 5장 16절에 '시간을 돌려주소서'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바울의 말은 '카이로스'입니다.





The Precessing Universe "In quantum systems, it is possible to turn back or fast-forward time."세차운동하는 우주 "양자 시스템에서는 시간을 되돌리거나 빨리 감는 것이 가능합니다."


Movies about time travel have one thing in common. If time travel is possible, you can go to the past or the future, but it is the case that you go to the past more often. Why is that? I think it is because the future is something to be curious about, but the past is something to regret. Everyone has probably imagined going back to the past and doing something they regret again.

시간 여행을 소재로 한 영화들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과거나 미래로 갈 수 있지만, 오히려 과거로 가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미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지만, 과거는 후회할 만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과거로 돌아가서 후회할 일을 다시 하는 상상을 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Austrian research team: 'Urashima effect' can turn back or speed up time in quantum systems
오스트리아 연구팀: '우라시마 효과'로 양자 시스템에서 시간을 되돌리거나 가속화할 수 있다


Einstein claims that according to special relativity,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faster than light. However, I claim that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faster than light.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저는 빛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Long ago,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I had a younger sister who was in the second grade. I had a vivid dream that my younger sister drowned. I woke up crying with my eyes wide open, and my younger sister was still alive nearby. I thought it was a dream, but that morning my younger sister drowned in the river.


옛적, 제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습니다.


저에게는 초등학교 2학년인 여동생이 있었습니다. 여동생이 물에 빠져 죽는 생생한 꿈을 꿨습니다. 눈을 크게 뜬 채 울면서 깨어났는데, 여동생이 아직 근처에 살아 있었습니다. 꿈인 줄 알았는데, 그날 아침 여동생이 강물에 빠져 죽었습니다.


Then how could I know that my future sister died in my dream? Isn't that proof that I can travel back in time faster than light?

그럼 꿈에서 미래의 여동생이 죽었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지? 빛보다 빨리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증거 아닌가?

Some people claim it's a coincidence, but many people have dreams like this.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우연의 일치라고 주장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런 꿈을 꿉니다.


Could it be that my future sister's soul was moving faster than light, 

transcending time, 

transmitting information to my past self, 

and asking me to save my sister? I felt guilty for not being able to save my sister.


혹시 미래의 여동생의 영혼이 빛보다 빠르게 움직여 

시간을 초월하여 

과거의 나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구해 달라고 부탁하는 걸까? 여동생을 구하지 못한 죄책감이 들었다.


4:16
지금 재생 중


2 Corinthians 7:10 KRV


Godly sorrow brings repentance that leads to salvation and leaves no regrets, but worldly sorrow brings death.


Repentance and conversion are the process of regretting past wrongdoings and pledging to change for the future. Repentance is turning to God, and conversion is changing the mind and believing in God.


The statement that life was born when time went back is an expression necessary to explain the scientific theory of the origin of life.


고린도후서 7:10 KRV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가져오고 후회할 것이 없지만, 세상적인 근심은 사망을 가져옵니다.


회개와 회심은 과거의 잘못을 후회하고 미래를 위해 변화하겠다고 다짐하는 과정입니다. 회개는 하나님께로 향하는 것이고, 회심은 마음을 바꾸고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시간이 거슬러 올라가면서 생명이 탄생했다는 진술은 생명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이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표현입니다.


 ‘Give us back time’ in Ephesians 5:16  에베소서 5장 16절의 '우리에게 시간을 돌려 주소서'



 

Romans 8:13 “For if you live according to the flesh, you will die; but if by the Spirit you put to death the deeds of the body, you will live.”

롬8:13 “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

In an atom, protons, neutrons, and electrons occupy 0.0001% of space and the remaining 99.999% is empty.

The world is not a material body, but a spiritual battle between God and Satan.

원자에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0.0001%의 공간을 차지하고 나머지 99.999%는 비어 있습니다. 

세상은 물질적인 육체가 아니라 하나님과 사탄의 영적 전쟁입니다.


Humans living on Earth, the eternal home of mankind and a planet that literally maintains a living environment suitable for life due to numerous miraculous phenomena, are completely unaware of God's grace.

인류의 영원한 고향이자, 말 그대로 수많은 기적적인 현상들로 인해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생활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행성인 지구에 사는 인간들은 하나님의 은혜를 전혀 알지 못합니다.



‘Therefore do not be unwise, but understand what the will of the Lord is.’ (Ephesians 5:17)

'그러므로 너희는 지혜 없는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라.'(엡5장17절)




Of course, having a lot of material money can make you temporarily happy.

But it's only for a moment

People who have cancer and may die soon will be very happy if they cure their cancer and become healthy. However, the moment the cancer is cured, you are happy for a moment and the happiness disappears.

물론 물질적인 돈이 많으면 일시적으로 행복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잠시뿐이야 암에 걸려 곧 죽을 수도 있는 사람들이 암을 치료하고 건강해지면 

매우 행복할 것입니다. 그러나 암이 치료되는 순간 잠시 기쁘기도 하고 그 행복감도 사라진다.


"Kairos, the turning back of time" refers to the subjective aspect of time, that is, the Greek word "Kairos", which means an important moment or opportunity. Unlike "Chronos", which is the time that flows physically, Kairos emphasizes the meaning of subjective time, that is, the time that each individual feels. Kairos has a special meaning, such as a moment of opportunity or a decisive moment.


"카이로스(Kairos)"는 시간의 주관적인 측면, 즉 중요한 순간이나 기회를 뜻하는 그리스어 "카이로스(Kairos)"를 지칭합니다. 물리적으로 흐르는 시간인 "크로노스(Chronos)"와 달리, 카이로스는 주관적인 시간, 즉 각 개인이 느끼는 시간의 의미를 강조합니다. 카이로스는 기회의 순간이나 결정적인 순간과 같은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So, guys, what should we do to make our lives more like “Kairos” than “Chronos”?

그러면, 여러분 우리의 삶이 <크로노스>가 아니라 <카이로스>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Give us back time’ in Ephesians 5:16

에베소서 5장 16절의 '우리에게 시간을 돌려 주소서'






Reclaim your time.


The days are evil (Eph 5:16-bottom box).


To invest time, you must reclaim your time (Eph 5:16).


The way to secure time in this evil age is to “reclaim your time.”


시간을 되찾으세요.


세상은 악합니다(엡 5:16 - 아래 상자).


시간을 투자하려면 시간을 되찾아야 합니다(엡 5:16).


이 악한 시대에 시간을 확보하는 방법은 "시간을 되찾는 것"입니다.



Life is a fleeting thing, and the time that has passed is something that cannot be turned back or regained.

<And yet

Ephesians 5:16, ‘Give us back our time’>

we can find time again

When Paul said, ‘Take back time,’ he used the Greek word ‘kairos’ to emphasize its meaning.

인생은 한순간이고, 지나간 시간은 되돌릴 수도, 되돌릴 수도 없는 것입니다. 

<그래도 에베소서 5장 16절, '우리에게 시간을 도로 주시고'>

 우리는 다시 시간을 찾을 수 있어요 바울은 '시간을 되돌리다'라고 말하면서 

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헬라어 '카이로스'를 사용했습니다.





Those born according to the flesh - those who hear the voice of men, those born according to the flesh = . Those born of the Spirit - those born according to the promise of God, those born hearing the word = . The Bible says that those born according to the flesh persecute those born according to the Spirit. Those born according to the flesh have the life of the flesh, and those born according to the Spirit, with the mind and heart of the flesh, persecute them. Who are they?

육신을 따라 난 자 - 사람의 음성을 듣는 자, 육신을 따라 난 자 = . 성령으로 난 자 -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난 자, 말씀을 듣고 난 자 = . 성경은 육신을 따라 난 자들이 영을 따라 난 자들을 핍박한다고 말씀합니다. 육신을 따라 난 자들은 육의 생명을 가지고 있고, 영을 따라 난 자들은 육의 생각과 마음으로 그들을 핍박합니다. 그들은 누구입니까?

Usage examples of 'Kairos' (=time, Καιρός)


* As a subjective time, it is used when you can give some meaning to time. 


* As an easy example from everyday life, in the time of 365 days in a year, one day, my birthday, is understood as a very meaningful day to me, unlike other people, and each person gives it great meaning. 


* In Acts 7:20, it deals with the story of Moses being born 'at that time' according to God's special plan and sovereignty during the time of Chronos when Israel prospered.'

카이로스'(=시간, Καιρός)의 사용 예


* 주관적인 시간으로서, 시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때 사용됩니다.


* 일상생활에서 쉽게 예로 들자면, 일 년 365일 중 어느 날, 제 생일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저에게 매우 의미 있는 날로 여겨지며, 각자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


* 사도행전 7장 20절은 이스라엘이 번영하던 크로노스 시대에 하나님의 특별한 계획과 주권에 따라 '그때'에 모세가 태어난 이야기를 다룹니다.




In those days Moses was born, and was very beautiful, and was raised in his father's house for three months. (Acts 7:20, King James Version) ('In those days Moses was born, and was very beautiful, and was raised in his father's house for three months.' - Acts 7:20, King James Version) = The birth of life that violate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which Satan controls, is likened to the birth of Moses.

그 무렵에 모세가 태어나 매우 아름다워서 아버지 집에서 석 달 동안 자랐습니다. 

(사도행전 7:20, 킹 제임스 성경) ('그 무렵에 모세가 태어나 매우 아름다워서 

아버지 집에서 석 달 동안 자랐습니다.' - 사도행전 7:20, 킹 제임스 성경) = 

사탄이 조종하는 열역학 제2법칙을 어기는 생명의 탄생은 모세의 탄생에 비유됩니다.

Redeeming the time, because the days are evil.'(영어KJV성경 엡5장16절)

('시간을 되찾으라. 날들이 악하니라.'-킹제임스흠정역성경 엡5장16절)



The Greek word 'chronos' is used to refer to natural time that just flows like our daily live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leading to disorder ruled by Satan Lucifer>

그리스어 '크로노스'는 우리 일상처럼 자연스럽게 흐르는 시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 사탄 루시퍼가 지배하는 무질서로 이어지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Kairos' is used when we can subjectively give some special meaning to objective everyday time (=chronos).

'카이로스'는 우리가 객관적인 일상의 시간(=크로노스)에 주관적으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때 사용됩니다.



In Ephesians 5:16, it says, 'Give us back time'. = That's why Paul's word is 'Kairos'.


에베소서 5장 16절에 '시간을 돌려주소서'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바울의 말은 '카이로스'입니다.


Depending on the mindset and attitude with which you live, you can live a <Kairos life> that goes beyond the <chronos life> of physical time.


당신이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로 살아가느냐에 따라 물리적 시간의 <크로노스적 삶>을 넘어선 <카이로스적 삶>을 살 수 있습니다.


The use of Kairos in the Bible refers to <a specific time determined and given in God's plan>, and Paul emphasized the meaning by using the Greek word 'Kairos' when he said, 'Reclaim the time'.


성경에서 카이로스는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정해져 주어진 구체적인 시간>을 의미하며, 바울은 '시간을 되찾으라'고 말할 때 그리스어 '카이로스'를 사용하여 그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leading to disorder controlled by Satan Lucifer, means that meaningless wasted time is 'revived meaningfully by the grace of the Lord', and this is the cause of turning back time and the birth of humans and life.

열역학 제2법칙, 즉 사탄 루시퍼가 조종하는 무질서로 이어지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은 무의미하게 낭비된 시간이 '주님의 은혜로 의미 있게 되살아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시간을 되돌리고 인간과 생명이 탄생하는 원인입니다.





“Therefore do not be unwise, but understand what the Lord’s will is.” (Ephesians 5:17)

“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라.”(에베소서 5:17)

A lif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discerning and understanding the will of the Lord is called a ‘life of Kairos.’

성령으로 충만하여 주님의 뜻을 분별하고 깨닫는 삶을 ‘카이로스의 삶’이라고 합니다.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which aims for disorder ruled by Satan Lucifer, is that time is fleeting, and the time that has passed <cannot be turned back or recovered>. That is the number of the beast, 666, in Revelation 13:18.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은 사탄 루시퍼가 지배하는 무질서를 목표로 합니다. 시간은 덧없으며, 지나간 시간은 <돌이킬 수 없고 회

복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요한계시록 13장 18절에 나오는 짐승의 숫자 666입니다.



666 The beasts do not care what God's will is. They are only interested in immediate food and self-interest. The beasts in the rut are only interested in mating. This i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which is the path of death toward disorder ruled by Satan Lucifer.

666 짐승들은 신의 뜻이 무엇인지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들은 오직 당장의 먹이와 자기 이익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발정기에 있는 짐승들은 오직 짝짓기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며, 사탄 루시퍼가 지배하는 무질서로 향하는 죽음의 길입니다.





Ephesians 5:15-33 KRV

Be careful then how you walk, not as unwise but as wise, making the most of your time, because the days are evil. Therefore do not be foolish, but understand what the Lord's will is.

에베소서 5:15-33 KRV

그러므로 여러분은 어떻게 행할지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십시오. 시대가 악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십시오.

1 Thessalonians 4:3 says that God's will is for all of us to live in holiness, that is, to abstain from sexual immorality, and to have our own wives in a holy and honorable way. We should not be caught up in carnal desires like the Gentiles who do not know God, but should live according to God's will in holiness and honor.


데살로니가전서 4장 3절은 하나님의 뜻이 우리 모두가 거룩하게 사는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즉, 음행을 멀리하고 거룩하고 존귀한 아내를 두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들처럼 육신의 정욕에 사로잡히지 말고, 하나님의 뜻대로 거룩하고 존귀하게 살아야 합니다.



What is the will of the holy God? The word "holy" is [kodesh] in Hebrew and [hagiasmos] in Greek, which means "cleanliness." However, the more important meaning of this word in the Bible is <distinction> or <separation>. This means being separated from the worldly world.

거룩하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일까요? "거룩함"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코데쉬]이고, 헬라어로는 [하기아스모스]로 "깨끗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이 단어의 더 중요한 의미는 <구별> 또는 <분리>입니다. 이는 세상으로부터 분리됨을 의미합니다.


"Holy" is [kodesh] in Hebrew and [hagiasmos] in Greek, which means "cleanliness." 


However, the more important meaning of this word in the Bible is <distinction> or <separation>. This means being separated from the worldly world. 


Therefore, the word holy can only be applied to God. 



Because only God is holy. 


"You alone are holy." (Rev. 15:4) 


"거룩함"은 히브리어로 [코데쉬], 그리스어로 [하기아스모스]로 "깨끗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이 단어의 더 중요한 의미는 <구별> 또는 <분리>입니다. 이는 세상과 분리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거룩함은 오직 하나님께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거룩하시기 때문입니다.


"당신만이 거룩하십니다." (요한계시록 15:4)




"And the seraphs... cried one to another, saying, Holy, holy, holy is the Lord God Almighty..." (Isaiah 6:3) "And the four living creatures... said, Holy, holy, holy is the Lord God Almighty..." (Revelation 4:8) ​ But Paul says that we are made holy in Christ. "To the church of God which is in Corinth, to those who are sanctified in Christ Jesus, called to be saints..." (1 Corinthians 1:2)

"스랍들은...서로 창화하여 가로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사6:3)

"네 생물이...이르기를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계4:8)

그런데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거룩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곧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과 ..."(고전1:2)

How can the word holy, which can only be used for God, be used for believers? It is because they “abide in Christ.” 


In the Bible, angels are also called <holy angels> (Rev. 14:10), and the Israelites who made a covenant with God were also called <holy people> (Ex. 19:6).

하나님께만 쓰일 수 있는 거룩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믿는 자들에게 쓰일 수 있을까요? 바로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 거하기” 때문입니다.


성경에서 천사들은 <거룩한 천사들>(계 14:10)로 불리기도 하고,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이스라엘 백성 또한 <거룩한 백성>(출 19:6)으로 불렸습니다.



Not only that.

Even the land, grain, food, and fruit offered to God were called <holy things> (Lev. 27:30, Num. 6:20), and the tents and clothes offered to God also became <tabernacles> and <holy clothes> (Ex. 28:4).
They are called <holy things> because they <belong to God>.

뿐만 아닙니다.

하나님께 드려진 땅이나 곡식이나 음식이나 과일조차도 <성물>이라 일컬어졌고(레27:30, 민6:20) 하나님께 드려진 천막이나 옷도 <성막>이 되고, <거룩한 옷>이 되었습니다.(출28:4)
 <거룩한 것>으로 불리워지는 것은 그것들이 <하나님께 속하여> 있기 때문입니다.


The birth of life is considered a very sacred and divine event. This applies to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animals, and plant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the law that entropy increases in an isolated system. Life is a decrease in entropy, so turning back time means that life is born through God's holiness.

생명의 탄생은 매우 신성하고 신성한 사건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인간, 동물, 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에 적용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은 고립된 계에서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법칙입니다. 생명은 엔트로피의 감소이며, 따라서 시간을 되돌린다는 것은 생명이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통해 탄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f you try to turn back time, you will sometimes suffer financial losses,


and be hated by people.


For example, if you spend a lot of money on your own pleasure,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which i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you will waste time in the chaotic flow of the world ruled by Satan Lucifer, and you will grow old and die without meaning.


In that case, you may enjoy worldly pleasures for a while, but those pleasures will only last for a while, and you will not receive the reward of turning back eternal time and going to heaven.



시간을 되돌리려 하면 때로는 재정적 손실을 입기도 하고


사람들의 미움을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에 따라 자신의 쾌락에 많은 돈을 쓴다면


사탄 루시퍼가 지배하는 세상의 혼돈스러운 흐름 속에서 시간을 허비하게 되고, 의미 없이 늙고 죽게 됩니다.


그렇다면 잠시 세상적인 쾌락을 누릴 수는 있겠지만, 그 쾌락은 잠시일 뿐, 영원한 시간을 되돌려 천국에 가는 보상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Helping our needy neighbors with money and power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holy life. God summarized the spirit and method of loving our neighbors in the second stone tablet of the Ten Commandments.

돈과 권력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은 거룩한 삶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십계명의 두 번째 돌판에 이웃을 사랑하는 정신과 방법을 요약하셨습니다.




Heidegger called everyday life (a lif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and entropy) 'inauthentic life'.

He called life that pursues the true self 'authentic life'.

Authentic life means a life that strives to reduce carbon dioxide and decrease 

the increase of entropy.

하이데거는 일상생활(이산화탄소와 엔트로피의 증가에 반응하지 않는 삶)을

 '비진정한 삶'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는 참된 자아를 추구하는 삶을 '진정한 

삶'이라고 불렀습니다. 진정한 삶이란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엔트로피의 증가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삶을 의미합니다.

Christians today may have the form of being God's children, but may not have the actual content. In many cases, they still live as servants rather than as children. Paradoxically, the species is just as good. Because they work hard to be recognized as a species. We are not ‘children’, we are not ‘servants’, and I don’t know if we live like ‘orphans’ who are not mentioned in today’s text.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자녀의 형태는 있지만 실제 내용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그들은 아직도 어린아이가 아닌 종으로 살고 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종은 그만큼 좋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하나의 종으로 인정받기 위해 열심히 일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린아이’도 아니고, ‘종’도 아니고,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고아’처럼 살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There is no one to absolutely trust, and they lack the will to live an exemplary life according to their own philosophy of life, so they just live alone, like orphans, fighting each battle. The world today may be a place where such orphans flock around and engage in misbehavior. You will be able to see this in the Korean political scene. There are a lot of things I feel resentful about, a lot of things that make me irritated, and a lot of things that make me feel sad because they don't recognize me. Even the smallest things make me angry. The peace and freedom that God's children should enjoy are nowhere to be found,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servant to follow the master's will is not enough.


절대적으로 믿을 사람도 없고, 자신의 삶의 철학에 따라 모범적인 삶을 살아갈 의지도 부족하여 그저 고아처럼 매 전투마다 싸우며 살아갈 뿐입니다. 오늘날의 세상은 그러한 고아들이 무리를 지어 잘못된 행동을 하는 곳일 수 있습니다. 한국 정치 현장을 보면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망스러운 일도 많고, 짜증나는 일도 많고, 나를 알아보지 못해 서운한 일도 많다. 아주 작은 일에도 화가 납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누려야 할 평안과 자유는 어디에도 없고, 주인의 뜻을 따라야 하는 종으로서의 책임감도 부족합니다.


We are trapped in a small world called ‘self’ and live thinking that it is the whole world. Would you be happy if you achieved some level of self-accomplishment in that way? Can we live like an orphan and experience the kind of life that is only possible for the sons and daughters of God? The word ‘orphan’ here is used as a metaphor, so please do not misunderstand.


우리는 '나'라는 작은 세상에 갇혀서 그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런 식으로 어느 정도 자기 성취를 달성하면 행복할까요? 고아처럼 살면서 하나님의 아들딸만이 누릴 수 있는 삶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여기서 '고아'라는 단어는 비유적으로 사용된 것이므로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Life as a child is not easy in our daily lives. First of all, this is because ‘life as a species’ and ‘life as a child’ overlap. That is why Paul expressed his cry for ‘Abba, Father.’ This is because life as a child is impossible if you do not cry out. Jesus lived his short life in such a crying way. On the night he was arrested, when he was praying on the streets of Gethsemane, he cried out, “Abba, Father!”


어린 시절의 삶은 일상생활에서 쉽지 않습니다. 우선 '종으로서의 삶'과 '어린 시절의 삶'이 겹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울은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짖었습니다. 부르짖지 않으면 어린아이의 삶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렇게 눈물 흘리며 짧은 생애를 사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체포되시던 날 밤, 겟세마네 거리에서 기도하시다가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짖으셨습니다.


His fate was so cruel that at the last moment he could not shake the feeling that he had been abandoned by God. If you don't cry out, your child's life is impossible. It falls off easily. Because the life of a servant is easy.


그의 운명은 너무나 잔혹했기 때문에 마지막 순간에 그는 자신이 하나님께 버림받았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었습니다. 부르짖지 않으면 자녀의 삶은 불가능합니다. 쉽게 넘어집니다. 종의 삶이 쉽기 때문입니다.




If the Spirit of him who raised Jesus from the dead dwells in you, he who raised Christ Jesus from the dead will also give life to your mortal bodies through his Spirit who dwells in you.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The Bible says that the Holy Spirit ‘makes us alive.’ This means that our lives are filled only by the Holy Spirit. Paul pointed out this fact in Romans 8:11, which precedes today’s text, as follows: This verse is so important that you should memorize it.

성경은 성령께서 우리를 살리신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삶이 오직 성령으로만 충만하다는 뜻입니다. 바울은 오늘 본문에 앞서 나오는 로마서 8장 11절에서 이 사실을 다음과 같이 지적했습니다. 이 구절은 너무 중요해서 꼭 외워야 할 구절입니다.






In other words, the Holy Spirit is the Spirit of life. The next question is about what is life and what is salvation. Isn't that the only way to know what the Spirit of life is and what the power of life is? Among those listening to today's sermon, those who think that 'eating more than others and living more luxuriously than others' is the way of life should know that this is not the Holy Spirit, but the evil spirit of Satan, Lucifer.




즉, 성령은 생명의 영이시다. 다음 질문은 생명이 무엇이고 구원이 무엇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그래야만 생명의 영이 무엇인지, 생명의 능력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길이 아닙니까? 오늘 말씀을 듣는 분들 중에 '남보다 많이 먹고 남보다 더 사치스럽게 사는 것'이 삶의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은 이것이 성령이 아니라 사탄의 악한 영인 루시퍼임을 알아야 합니다.


Henry David Thoreau's 『Walden』 is a book that has spiritually touched many people. This is a collection of prose that calmly describes Thoreau's experiences living in his late 20s while building a cabin and tending a small garden in the woods near a lake called Walden. In the middle, there is also a story about one's philosophy and outlook on life. For example, he said he doesn't read newspapers. What appears in the newspaper is not exactly new news. It's just news fabricated by Illuminati zombies, subcontractors of the dirty Satan Lucifer.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적으로 감동을 준 책이다. 월든이라는 호수 근처 숲 속에 오두막을 짓고 작은 정원을 가꾸며 20대 후반에 살았던 소로의 경험을 담담하게 풀어낸 산문집이다. 중간에는 자신의 철학과 인생관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신문을 읽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신문에 나오는 내용은 엄밀히 말하면 새로운 뉴스는 아닙니다. 더러운 사탄 루시퍼의 하청업자인 일루미나티 좀비들이 날조한 뉴스일 뿐입니다.


In the 21st century we live in, this phenomenon has become more severe. Due to false information caused by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nd commercialization of media, we are unable to utilize information properly and are instead being brainwashed like zombies by false information created by the 0.1% elite who rule the world.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 들어 이런 현상은 더욱 심해졌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으로 인한 허위정보, 미디어의 상업화로 인해 우리는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세상을 지배하는 0.1% 엘리트들이 만들어낸 허위정보에 좀비처럼 세뇌당하고 있다.




Among the words used in the church, the most difficult word to understand is ‘spirit.’ Usually it is called the Holy Spirit. It can also be expressed differently. The Spirit of Truth, the Spirit of God, the Spirit of Christ, the Spirit of Life, and expressions that appear in today's sermon include the Spirit of a servant, the Spirit of adoption, and our spirit (pneuma hemon). At the center of all expressions is the Greek word ‘pneuma.’



교회에서 사용하는 단어 중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는 '영'이다. 보통 성령이라고 부른다. 다르게 표현되기도 합니다. 진리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생명의 영 그리고 오늘 설교에 나오는 표현으로는 종의 영, 양자의 영, 우리의 영(프뉴마 헤몬)이 있습니다. 모든 표현의 중심에는 그리스어 '프뉴마(pneuma)'가 있습니다.





The dictionary meaning of pneuma is spirit, inner life, power, wind, breath, ghost, etc. What on earth is a spirit? There is also an expression to receive the Holy Spirit. What does the phrase “a person led by the Spirit of God” mean in verse 14 of today’s text? Are we people today who are led by the Spirit of God? Have you ever thought seriously about the Holy Spirit? Is the Holy Spirit just a purely religious concept that has nothing to do with our daily lives?


뉴마의 사전적 의미는 정신, 내면의 생명, 힘, 바람, 호흡, 유령 등입니다. 도대체 정신이란 무엇일까요? 성령을 받는다는 표현도 있습니다. 오늘 본문 14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영의 인도함을 받는 사람”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오늘날 우리는 하나님의 영의 인도를 받는 사람들입니까? 성령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성령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아무 관련이 없는 순전히 종교적인 개념에 불과합니까?



According to the New Testament,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was inseparable from the Holy Spirit. It started with the Pentecost of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Acts 2, after Jesus' crucifixion, resurrection, and ascension, 120 people, including disciples and other followers, gathered in the upper room of John Mark in Jerusalem. It is said that the Holy Spirit came at that time. Today, the Feast of Pentecost, observed by churches around the world, is the day that points to that event.


신약성서에 따르면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성령과 분리될 수 없었습니다. 그것은 성령강림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도행전 2장에 따르면,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후에 제자들과 추종자들을 포함하여 120명이 예루살렘에 있는 요한 마가의 다락방에 모였습니다. 이때 성령이 임하셨다고 합니다. 오늘날 전 세계 교회가 지키는 오순절은 바로 그 사건을 가리키는 날이다.



There are two ways the Holy Spirit came upon them. One is a sound like the wind, and the other is like tongues of fire. This phenomenon is metaphorical, not factual. Wind and fire are the most mysterious and powerful abilities in natural phenomena. Without air, there is no wind, and without something to ride, there is no fire.


성령이 그들에게 임한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바람 같은 소리요, 다른 하나는 불의 혀 같은 소리입니다. 이 현상은 사실이 아니라 은유적이다. 바람과 불은 자연 현상에서 가장 신비롭고 강력한 능력입니다. 공기가 없으면 바람이 없고, 탈 것이 없으면 불이 없습니다.


Wind and fire are the most powerful forces that change the world around them, although they do not exist in themselves. The early Christians were able to spread the gospel of Jesus Christ throughout the world through something powerful like wind and fire. This means that the church has been a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from the beginning. Can we say that Daegu Samteo Church is a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Is there evidence that the Holy Spirit, a power as powerful as wind and fire, comes within our church and among our members?


바람과 불은 그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주변 세계를 변화시키는 가장 강력한 힘입니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바람과 불 같은 강력한 힘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 세계에 전파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교회가 태초부터 성령의 공동체였다는 뜻이다. 대구삼터교회는 성령공동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바람과 불 같은 능력이신 성령님이 우리 교회와 성도들 가운데 임하신다는 증거가 있습니까?



The 「Revised King James Version」 of the Bible gives the section containing today’s sermon a subtitle, ‘The law of the Holy Spirit of life.’ The Luther Bible was titled ‘Das Leben im Geist’ (Life in the Spirit). What these two subheadings point to is the fact that the Holy Spirit is the Spirit of life. Since life is the opposite of death, the power that overpowers the power of death is the Holy Spirit. Even if we only know this much, we have come close to the core of the Holy Spirit.


「개정 킹제임스성경」에는 오늘 설교 부분에 '생명의 성령의 법'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루터 성경의 제목은 '성령 안에 있는 삶'(Das Leben im Geist)이었습니다. 이 두 소제목이 가리키는 것은 성령이 생명의 영이라는 사실이다. 생명은 사망의 반대이므로 사망의 권세를 이기는 권세는 성령이십니다. 우리가 이 정도만 알더라도 성령의 핵심에 가까이 다가온 것입니다.




《River of No Return》(Korean: River of No Return) is like an American western

 movie 

released in 1954.

The actors an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of the past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entropy has increased and

 reproduction is now impossible, so they cannot give the same atmosphere

 and feeling.

《돌아오지 않는 강》은 마치 1954년에 개봉한 미국 서부 영화 같다.

과거의 배우들과 주변 자연환경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더 이상 재생산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분위기와 느낌을 줄 수 없다.









잉그리드 버그만은 영화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배우 중 한 명이다. [사진=영화 카사블랑카]










Movies like Ben-Hur and Papillon received sequels decades later, but they 

never quite had the same feel as the originals.

벤허와 빠삐옹 같은 영화는 수십 년 후에 속편이 나왔지만, 원작과 똑같은

 느낌을 주지는 못했습니다.

<In just 50 years, sperm count has decreased by 45% and semen volume

 has decreased by 25%. Analysis of semen from French men stored at a

 sperm bank in Paris also confirmed that sperm count had decreased from 89 

million/mL in 1973 to 60 million/mL in 1992, and that motility had also decreased.>


<불과 50년 만에 정자 수는 45%, 정액량은 25% 감소했습니다. 파리의 정자 

은행에 보관된 프랑스 남성의 정액을 분석한 결과, 정자 수는 1973년 

8,900만 개/mL에서 1992년 6,000만 개/mL로 감소했으며, 정자 운동성 또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There is even a study that says that to get the same amount of nutrients 

as one peach in the past, you would have to eat 50 peaches today. Fruits and 

vegetables have become more attractive and bigger than before, but their

 substance has deteriorated. Why on earth did this happen?

과거에는 복숭아 한 개에 함유된 영양소를 섭취하려면 오늘날 복숭아 50개를

 먹어야 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과일과 채소는 예전보다 더 보기 좋고 

크기도 커졌지만, 그 영양분은 오히려 줄어들었습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According to WHO data, 70% of the world's arable land is polluted.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and agriculture has become industrialized,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mass produce on limited farmland. As a result,

 excessive fertilizers and pesticides have been used, so a large amount of 

pesticides and fertilizers have already accumulated on the land, and vegetables

 and fruits are already polluted and are coming straight to our tables.

WHO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경작지의 70%가 오염되었습니다. 인구는 증가하고 

농업은 산업화되어 한정된 농지에서 대량 생산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과도한 

비료와 살충제가 사용되어 이미 많은 양의 살충제와 비료가 땅에 축적되었고, 채소와

 과일은 이미 오염되어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습니다.


체만으로는 생명체가 살아가기 어렵습니다. 고체는 너무 느려 생명체가 효율적으로 살아갈 수 없습니다.


Gases are light and move quickly, but their density is too low to be advantageous for efficient life activities. Liquid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act as a solvent that can dissolve nutrients and transport them quickly throughout the body, and dissolve waste and expel it quickly from the body. (You may ask whether there could be living things made of solids or gases, but it is difficult to conduct meaningful scientific discussions based solely on imagination.)

What we can learn from the beauty and order of the Earth 

지구의 아름다움과 질서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


There is an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works of art and entropy reduction from an information-theoretic perspective. Works of art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effect of reducing entropy by creating order and structure in disorder.

정보 이론적 관점에서 예술 작품과 엔트로피 감소 사이에는 흥미로운 관계가 있습니다. 예술 작품은 무질서 속에서 질서와 구조를 만들어냄으로써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So why should we do everything decently, appropriately, and in order?


First of all, because our Lord God is not a God of confusion but a God of peace, and our Lord God hates confusion and disorder and loves peace and order.

그렇다면 왜 우리는 모든 일을 예의 바르고, 적절하고, 질서 있게 해야 할까요?


무엇보다도, 우리 주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라 평화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 하나님은 무질서와 혼란을 미워하시고 평화와 질서를 사랑하십니다.


The human body is made up of approximately 37.2 trillion cells, and the miraculous order and cooperation that allows a baby to be born violates Satan's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which tends toward disorder.


인체는 약 37조 2천억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기가 태어날 수 있게 하는 기적적인 질서와 협력은 무질서로 향하는 사탄의 두 번째 열역학 법칙인 엔트로피 증가 법칙을 위반합니다.

Red blood cells make up 71% of all cells.


How many of these cells are there in our bodies? A whopping 37 trillion. More than the number of stars in the universe. These tiny cells come together to do amazing things. They work in an orderly and perfect way that humans cannot imagine, creating miraculous order. It is God’s miraculous order that violates Satan’s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nd decreases entropy.


적혈구는 모든 세포의 71%를 차지합니다.

우리 몸에는 이 세포가 몇 개나 있을까요? 무려 37조 개입니다. 우주에 있는 별의 개수보다 많습니다. 이 작은 세포들이 모여 놀라운 일을 해냅니다. 인간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질서 있고 완벽하게 작용하며 기적적인 질서를 만들어냅니다. 사탄의 열역학 제2법칙을 어기고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것은 바로 하나님의 기적적인 질서입니다.


Illuminati zombie scientists, who cannot imagine the orderly divine system of 37 trillion cells creating a baby, deceive the world by claiming that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not violated.


37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질서정연한 신성한 체계가 아기를 만든다는 것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루미나티 좀비 과학자들은 열역학 제2법칙이 위반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세상을 속이고 있습니다.


The secret lies in the thorough specialization and division of labor of cells. For example, the DNA in the nucleus of each cell contains the entire blueprint of our body, but muscle cells only make muscles and liver cells only make liver. Germ cells are only responsible for reproduction (making offspring). Is that all? White blood cells, which act as police or soldiers, throw themselves into fighting germs to fulfill their role. Ordinary cells also usually disappear on their own after their role is over. They all make beautiful sacrifices for the whole, on their own, knowingly.


비밀은 세포의 철저한 전문화와 분업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각 세포의 핵에 있는 DNA는 우리 몸의 모든 청사진을 담고 있지만, 근육 세포는 근육만 만들고 간 세포는 간만 만듭니다. 생식 세포는 생식(자손 만들기)만 담당합니다. 그게 전부일까요? 경찰이나 군인 역할을 하는 백혈구는 자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세균과 싸우는 데 온 힘을 다합니다. 일반 세포들도 자신의 역할을 마치면 대개 스스로 사라집니다. 그들은 모두 자신을 위해, 스스로, 의식적으로 아름다운 희생을 치릅니다.


Of course, there are cells that cause problems. These are cancer cells that behave arbitrarily or do not die when they should. Fortunately, there are not many cancer cells that are only interested in their own survival.


The increase in entropy of cancer cells i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ells.


Cancer cells that act in a disorderly manner and increase entropy


물론 문제를 일으키는 세포도 있습니다. 이들은 제멋대로 행동하거나 죽어야 할 때 죽지 않는 암세포입니다. 다행히도 자신의 생존에만 관심이 있는 암세포는 많지 않습니다.


암세포의 엔트로피 증가는 정상 세포보다 훨씬 높습니다.


무질서하게 행동하고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암세포



The same goes for moving in an organized manner within cells. For example, proteins are the basic components that make up our bodies, like the bricks or cement needed to build a house. At first glance, it seems like genes (DNA) with genetic information would jump around to create these important components. However, contrary to what you might think, DNA stays still in the nucleus, and the ‘execution specialists’ in charge of each process are in charge of each field.

세포 내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단백질은 집을 짓는 데 필요한 벽돌이나 시멘트처럼 우리 몸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언뜻 보기에는 유전 정보를 가진 유전자(DNA)가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이러한 중요한 구성 요소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생각과는 달리 DNA는 핵 안에 그대로 존재하며, 각 과정을 담당하는 '실행 전문가'들이 각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The ribonucleic acid (RNA) that copies the necessary parts of the blueprint (information) contained in DNA brings the materials (amino acids) that make proteins, and then the manufacturing specialist (ribosome) makes them. It is the same structure where the CEO decides what needs to be done and then experts in each field execute it.

DNA에 담긴 청사진(정보)의 필수 부분을 복사하는 리보핵산(RNA)이 단백질을 만드는 물질(아미노산)을 가져오고, 이를 생산하는 전문가(리보솜)가 이를 생산합니다. CEO가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하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를 실행하는 구조와 같습니다.


Is that all? Each cell has specialists that control when and how much of the proteins it needs to produce (regulatory proteins), specialists that generate energy (ATP) (mitochondria), and specialists that engulf useless or harmful waste and foreign substances and clean up the inside of the cell (lysosomes). Without these fascinating aftercare specialists, cells would not only break down and age easily, but als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ells around them. We are able to live today thanks to these 37 trillion cells that work tirelessly on their own.


그게 전부인가요? 각 세포에는 필요한 단백질을 언제, 얼마나 많이 생산해야 하는지 조절하는 전문가(조절 단백질), 에너지(ATP)를 생성하는 전문가(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쓸모없거나 유해한 노폐물과 이물질을 흡수하여 세포 내부를 정화하는 전문가(리소좀)가 있습니다. 이러한 매혹적인 사후 관리 전문가가 없다면 세포는 쉽게 분해되고 노화될 뿐만 아니라 주변 세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쉼 없이 일하는 이 37조 개의 세포 덕분에 오늘날 살아갈 수 있습니다.


Many people wonder how to create a healthy organization when they become leaders of an organization, a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found in cells. The answer lies in which cell is the most numerous among the 37 trillion cells. The cells that are most needed will be the most numerous. Which cells are the most numerous?


많은 사람들이 조직의 리더가 되었을 때 어떻게 건강한 조직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는데, 그 답은 바로 세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37조 개의 세포 중 어떤 세포가 가장 많은지에 대한 답이 있습니다. 가장 필요한 세포가 가장 많을 것입니다. 어떤 세포가 가장 많을까요?


The brain cells consume the most energy


This time, you might think it's the brain cells, but unfortunately, it's not. The red blood cells that carry oxygen and nutrients to every part of our body are the most abundant.


뇌세포는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이번에는 뇌세포 때문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 몸의 모든 부위에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적혈구가 가장 많습니다.


There are 24 trillion of them, which is 71% of the total. The second most are platelets (5 trillion), which repair blood vessels and clot blood, and the third are bone marrow cells (500 billion), which make blood. This means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low blood (nutrients + oxygen) to all parts of the body. There are about 100 billion brain cells and about 25 billion white blood cells, but there are areas where brain cells are number one. They use the most energy in our body (over 20%). This may be the reason why you get tired easily when you have a headache.


뇌세포는 24조 개로 전체의 71%에 달합니다. 두 번째로 많은 것은 혈관을 수리하고 혈액을 응고시키는 혈소판(5조 개)이고, 세 번째로 많은 것은 혈액을 만드는 골수 세포(5천억 개)입니다. 즉,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액(영양소 + 산소)을 온몸으로 보내는 것입니다. 뇌세포는 약 1천억 개, 백혈구는 약 250억 개가 있지만, 뇌세포가 1위를 차지하는 부위가 있습니다. 뇌세포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20% 이상)를 사용합니다. 이것이 두통이 있을 때 쉽게 피곤해지는 이유일 수 있습니다.


The cells that make us up move in an organized and harmonious manner without any guidance, keeping us alive. However, humans, who are a collection of cells with such miraculous order and cooperation, behave in a disorderly manner because they are ruled by the evil spirit Satan.


우리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어떤 지시도 없이 질서 있고 조화롭게 움직이며 생명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이처럼 놀라운 질서와 협력을 갖춘 세포들의 집합체인 인간은 악령 사탄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무질서하게 행동합니다.

The question of the beauty of the universe, the beauty of wom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der and God can be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order and beauty of the universe come from the Creator God, and the beauty of women is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God's providence of cre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beauty of the universe and women can be understood as having beauty as independent entities, but ultimately being in harmony with the order of the Creator God.


우주의 아름다움, 여성의 아름다움, 그리고 질서와 신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주의 질서와 아름다움은 창조주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되며, 여성의 아름다움 또한 하나님의 창조 섭리 안에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주의 아름다움과 여성의 아름다움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아름다움을 지니지만, 궁극적으로는 창조주 하나님의 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Order is the Beauty of God


The second half of 1 Corinthians 14 is actually the same as the first half. It is specific instructions on how to use tongues and prophesy in church gatherings. The apostle Paul gives conclusive instructions on how to use tongues and prophesy in church, and goes a step further to teach not only how to use tongues and prophesy, but also how to do all things in the church.


질서는 하나님의 아름다움입니다


고린도전서 14장 후반부는 사실 전반부와 동일합니다. 교회 모임에서 방언과 예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입니다. 사도 바울은 교회에서 방언과 예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방언과 예언을 사용하는 방법뿐 아니라 교회에서 모든 일을 행하는 방법까지 가르칩니다.

<Verse 26> As we begin, “So then, brothers and sisters, what should we do?” As a fundamental answer to this question, three verses are important.


First, <Verse 26b> “Let everything you do be for the benefit of others.”


Second, <Verse 33> “For God is not a God of disorder but of peace.”


Third, <Verse 40> “Let all things be done properly and in order.”


<26절> 우리가 “그러므로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근본적인 답으로 세 구절이 중요합니다.


첫째, <26절하> “모든 일을 서로 유익하게 하라.”


둘째, <33절>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시요 평화의 하나님이시니라.”


셋째, <40절> “모든 일을 질서 있게 하라.”


The point is this: since God is not a God of disorder but a God of peace, everything that happens in the church, which is God's children, must be done properly and in order.



요점은 이것입니다.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라 평화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자녀인 교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올바르고 질서 있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If there is no mechanism designed in advance like life, entropy will always increase, and no new order can be created.




Illuminati zombie doctors and scientists are still deceiving people by administering mRNA vaccines as if they were manipulating COVID-19, killing countless people, causing side effects, and claiming that it is good for health.


In particular, Illuminati zombie scientists are lying that life is possible, even though the probability of life occurring by chance is very low.


However, the probability of life occurring by chance is as impossible as a miracle.


생명처럼 미리 설계된 메커니즘이 없다면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할 것이고, 새로운 질서는 만들어질 수 없습니다.


일루미나티 좀비 의사들과 과학자들은 마치 코로나19를 조작하는 것처럼 mRNA 백신을 투여하여 수많은 사람을 죽이고 부작용을 일으키면서도 건강에 좋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을 속이고 있습니다.


특히 일루미나티 좀비 과학자들은 생명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이 가능하다고 거짓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명이 우연히 발생할 확률은 기적만큼이나 불가능합니다.




The well-being tribe, who wander through deep mountains and valleys in search of the elixir of life, ignore this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y ignore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No, they do not know the existence of this law itself. That is why they are ignorant, ignorant, and superficial. They do not know that their bodies are always moving from order to disorder according to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They believe that 'well-being' is a way to protect their bodies. They indiscriminately eat other living things to protect their bodies. They do not care about the death or suffering of other living things.


깊은 산과 계곡을 헤매며 생명의 묘약을 찾는 웰빙족은 이 열역학 제2법칙을 무시합니다. 엔트로피 증가 법칙도 무시합니다. 아니, 그들은 이 법칙의 존재 자체도 모릅니다. 그렇기에 그들은 무지하고, 무지하며, 피상적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몸이 엔트로피 증가 법칙에 따라 항상 질서에서 무질서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모릅니다. 그들은 '웰빙'이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방법이라고 믿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생명체를 무차별적으로 잡아먹습니다. 다른 생명체의 죽음이나 고통에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Greed prevents a comfortable death. If life is greedy, it is hard to close your eyes because of resentment. Greed makes the moment of death painful. Greed is nothing but an eternal life of suffering.


탐욕은 편안한 죽음을 막습니다. 삶이 탐욕스럽다면, 원망 때문에 눈을 감을 수 없습니다. 탐욕은 죽음의 순간을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탐욕은 영원한 고통의 삶일 뿐입니다.


The expression "Greed increases entropy" is often used metaphorically. Entropy physically means disorder or probability, and it is related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which states that natural phenomena always proce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entropy. Greed occurs when individuals or groups try to have more, which can lead to disorderly situations such as waste of resources, increased competi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refor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that entropy increases when greed increases can be used to describe this social phenomenon.


"탐욕은 엔트로피를 증가시킨다"라는 표현은 종종 은유적으로 사용됩니다. 엔트로피는 물리적으로 무질서 또는 확률을 의미하며, 자연 현상은 항상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탐욕은 개인이나 집단이 더 많은 것을 얻으려 할 때 발생하며, 이는 자원 낭비, 경쟁 심화, 환경 파괴와 같은 무질서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탐욕이 증가하면 엔트로피도 증가한다는 은유적 표현은 이러한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As I get older, I find myself pondering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or entropy increase, more often. I have recently developed the habit of thinking about entropy increase in relation to my life activities. All living things in the world, including humans, follow the law of entropy increase.


나이가 들면서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 법칙에 대해 더 자주 생각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제 삶의 활동과 관련하여 엔트로피 증가를 생각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엔트로피 증가 법칙을 따릅니다.


Aging means that entropy increases. The order of youth gradually breaks down into disorder as we age. Aging means that entropy increases and we move toward the peak of disorder. All living things move toward the peak of disorder, stopping breathing and decomposing bone and flesh cells and dying. The death of a living thing is a critical situation where order can no longer be established.


노화는 엔트로피가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젊음의 질서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무질서로 무너집니다. 노화는 엔트로피가 증가하고 우리는 무질서의 정점을 향해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생명체는 호흡을 멈추고 뼈와 살 세포를 분해하며 죽어가면서 무질서의 정점을 향해 나아갑니다. 생명체의 죽음은 더 이상 질서를 확립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입니다.




Therefore, if there is a concentrated decrease in entropy in living organisms, it is possible that some activity related to that process may affect the transport pathways and chang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luid medium as a result. 

So planets with life will have a different composition than planets without life.


따라서 생명체의 엔트로피가 집중적으로 감소한다면, 그 과정과 관련된 어떤 활동이 물질 이동 경로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유체 매질의 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생명체가 있는 행성은 생명체가 없는 행성과 다른 조성을 갖게 될 것입니다.




Basically, for life to occur, something in a liquid state is needed. It is difficult to conduct life with only solids and gases. Solids are too slow to conduct life efficiently.


기본적으로 생명체가 발생하려면 액체 상태의 물질이 필요합니다. 고체와 기

기체는 가볍고 빠르게 움직이지만, 밀도가 너무 낮아 효율적인 생명 활동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액체는 영양소를 용해하여 몸 전체로 빠르게 운반하고, 노폐물을 용해하여 몸 밖으로 빠르게 배출하는 용매 역할을 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고체나 기체로 이루어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상상력만으로는 의미 있는 과학적 논의를 하기 어렵습니다.)

About 70% of the human body is made up of water, which makes up most of the body fluids that are essential for keeping cells and tissues alive and functioning.


인체의 약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와 조직을 살아있게 하고 기능하게 하는 데 필수적인 체액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Water turns into ice when frozen. When living cells suddenly turn into ice, the cells are damaged. This is why when fruits such as strawberries are frozen and then thawed, the cells that make up the fruit pulp are severely destroyed, causing the strawberries to become soft.

물이 얼면 얼음이 됩니다. 살아있는 세포가 갑자기 얼음으로 변하면 세포가 손상됩니다. 딸기와 같은 과일을 얼렸다가 해동하면 과육을 구성하는 세포가 심하게 파괴되어 딸기가 무르게 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The human body and brain, with their 37 trillion inconceivable cellular tissues and miraculous precision and biochemical processes, are much more complex than a fruit.

37조 개의 상상할 수 없는 세포 조직과 놀라운 정밀성, 생화학적 과정을 지닌 인간의 몸과 뇌는 과일보다 훨씬 더 복잡합니다.


You can freeze your brain if you want, but there's no guarantee what happens after it thaws.


원한다면 뇌를 동결할 수 있지만, 해동 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The important fact is that no living organism, which can be defined as complex, has ever been found to be completely inert. Organisms are always biologically active and are maintained by numerous biochemical processes. Freezing stops these processes. Reversing these processes is not as simple as turning on a switch on a machine.


중요한 사실은 복잡하다고 정의될 수 있는 어떤 생명체도 완전히 불활성인 것으로 밝혀진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생명체는 항상 생물학적으로 활동적이며 수많은 생화학적 과정을 통해 유지됩니다. 냉동은 이러한 과정을 중단시킵니다. 이러한 과정을 되돌리는 것은 기계의 스위치를 켜는 것만큼 간단하지 않습니다.


Neurons and brain cells are the most metabolically active, consuming a quarter of the body's available energy just to maintain their state. A frozen body has zero available energy. Stroke occurs when blood supply to a part of the brain is cut off, even for a short time.

뉴런과 뇌세포는 신진대사가 가장 활발하여, 상태를 유지하는 데만 신체 가용 에너지의 4분의 1을 소모합니다. 얼어붙은 몸은 가용 에너지가 전혀 없습니다. 뇌졸중은 뇌의 일부로 가는 혈액 공급이 단기간이라도 차단될 때 발생합니다.

The neuron structure of the brain is far more complex and far more vulnerable to chemical and physical damage than any Illuminati zombie scientist or doctor could ever imagine.

뇌의 신경 구조는 일루미나티 좀비 과학자나 의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화학적, 물리적 손상에 훨씬 더 취약합니다.

Other tissues can regenerate or repair damage, even if cryotherapy is not perfect, but neurons cannot. Therefore, the brain is not only more vulnerable to damage from cryotherapy, but also has a lower level of recovery.

다른 조직은 냉동 요법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재생하거나 손상을 복구할 수 있지만, 신경 세포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뇌는 냉동 요법으로 인한 손상에 더 취약할 뿐만 아니라 회복 수준도 낮습니다.


The key is that what sustains the human mind and consciousness is not just the presence and number of neurons in the brain, but also the sophistication of their arrangement and connection. The brain is densely packed with trillions of tiny nerve cell connections, and our memories and identities are stored through these connections.

핵심은 인간의 정신과 의식을 유지하는 것은 뇌 속 뉴런의 존재와 수뿐만 아니라, 그 뉴런들의 정교한 배열과 연결이라는 것입니다. 뇌는 수조 개의 작은 신경 세포 연결로 빽빽하게 채워져 있으며, 우리의 기억과 정체성은 이러한 연결을 통해 저장됩니다.


During the freezing process, important neural structures and connections in the brain are easily destroyed and cannot be restored.

동결 과정 중에 뇌의 중요한 신경 구조와 연결이 쉽게 파괴되어 복구할 수 없습니다.


Even if future medicine has the technology to rebuild and restore these connections, how will future doctors know which nerve connections go where?

미래의 의학이 이런 연결을 재건하고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더라도, 미래의 의사들은 어떤 신경 연결이 어디로 연결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Unless you can fully examine the brain at the molecular level before freezing it and store the results in your head or body, trying to reconstruct the memories of your neurons is as difficult as reconstructing the ashes of a burned book.

뇌를 동결하고 그 결과를 머리나 몸에 저장하기 전에 분자 수준에서 뇌를 철저히 검사하지 않는 한, 신경 세포의 기억을 재구성하는 것은 타버린 책의 재를 재구성하는 것만큼 어렵습니다.


When you grill meat, it cooks deliciously, but if you cool it, it doesn't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This reaction is called an irreversible reaction, and there are many such irreversible reactions in nature. Why do such reactions only proceed in one direction? This concept i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고기를 구우면 맛있게 익지만, 식히면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이 반응을 비가역 반응이라고 하며, 자연에는 이러한 비가역 반응이 많이 있습니다. 왜 이러한 반응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될까요? 이 개념은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입니다.


Like restoring a burnt book 


The emergence of life is a miracle in that it reduces entropy. While the universe tends to become more disordered over time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living organisms locally reduce entropy by absorbing external energy and organizing themselves.


타버린 책을 되살리는 것처럼


생명의 출현은 엔트로피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기적입니다. 우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무질서해지는 경향이 있지만(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살아있는 유기체는 외부 에너지를 흡수하고 스스로를 조직함으로써 국지적으로 엔트로피를 감소시킵니다.


The emergence of life is often described as a miracle.


Given the complexity of life, its seemingly accidental origins, and the possibility of life on Earth, the emergence of life is more than just a natural phenomenon.

생명의 출현은 종종 기적이라고 묘사됩니다.


생명의 복잡성, 겉보기에 우연처럼 보이는 기원, 그리고 지구상 생명체의 가능성을 고려할 때, 생명의 출현은 단순한 자연 현상 그 이상입니다.


Movies about time travel have one thing in common. If time travel is possible, you can go to the past or the future, but it is the case that you go to the past more often. Why is that? I think it is because the future is something to be curious about, but the past is something to regret. Everyone has probably imagined going back to the past and doing something they regret again.

시간 여행을 소재로 한 영화들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과거나 미래로 갈 수 있지만, 오히려 과거로 가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미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지만, 과거는 후회할 만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과거로 돌아가서 후회할 일을 다시 하는 상상을 해 본 적이 있을 겁니다.


For Heidegger, fundamental mood (Grundstimmung) is a way of revealing the fundamental mode of existence of human Dasein and is distinct from simple emotions. This fundamental mood defines the human way of being and manifests itself in forms such as anxiety or boredom. The longing for home (Heimat) is an important theme in Heidegger's philosophy, meaning Dasein's desir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of being.


하이데거에게 근본적인 기분(Grundstimmung)은 인간 현존재의 근본적인 존재 방식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단순한 감정과는 구별된다. 이 근본적인 기분은 인간의 존재 방식을 정의하고 불안이나 지루함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고향(Heimat)에 대한 그리움은 하이데거 철학의 중요한 주제로, 존재의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현존재의 염원을 의미한다.

The expression 'humans longing for heaven', referring to humans who left heaven after being deceived by Satan, expresses human longing for eternal rest. This comes from the realization that physical life is finite and the natural yearning for an eternal world.

사탄에게 속아 천국을 떠난 인간을 가리키는 '천국을 갈망하는 인간'이라는 표현은 영원한 안식을 바라는 인간의 염원을 표현한다. 이는 육체적 생명은 유한하다는 깨달음과 영원한 세계에 대한 자연스러운 동경에서 비롯됩니다.


Everyone has probably fantasized about going back to their romantic past and wanting to undo something they regret.


누구나 과거의 낭만적인 과거로 돌아가서 후회했던 일을 되돌리고 싶은 환상을 가지고 있었을 것입니다.









The romance of photos of the past has to do with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Entropy refers to the tendency of a system to become disordered over time, and the feeling of romance in the process of the past changing and disappearing over time is associated with this increase in disorder. In other words, as a specific moment in the past deteriorates or disappears over time, we feel longing and romance for that moment.



과거 사진에 대한 낭만은 엔트로피 증가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이 무질서해지는 경향을 의미하며, 과거의 모습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사라지는 과정에서 낭만을 느끼는 것은 이러한 무질서의 증가와 연관됩니다. 즉, 과거의 특정 순간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질되거나 사라져 가는 과정에서 그 순간에 대한 그리움과 낭만을 느끼는 것입니다. 












Receiving emotional feelings from old things is closely related to the law of increasing disorder (entropy). Increasing entropy refers to the tendency of natural phenomena to become disordered over time, which in turn makes it feel as if change and time accumulate, giving certain objects a history and story. In other words, traces of time felt in old objects or places naturally become elements that stimulate emotions due to the accumulation of disorder.


오래된 것에서 감정을 받는 것은 무질서(엔트로피) 증가의 법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것은 자연 현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질서해지는 경향을 말하며, 이는 결국 변화와 시간이 누적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며, 특정 사물에 역사와 이야기를 부여하게 된다. 즉, 오래된 사물이나 장소에서 느껴지는 시간의 흔적은 무질서가 누적되면서 자연스럽게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가 된다.






Good and bad moods represent basic human emotional states, which can be seen as emotions inherently related to survival. Positive emotions provide feelings of pleasure, reward, and security, while nega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risk.

좋은 기분과 나쁜 기분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본질적으로 생존과 관련된 감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감정은 즐거움, 보상, 안정감을 제공하는 반면, 부정적인 감정은 위험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ood reveals the importance of existence and existence in Heidegger's philosophy, suggesting that fundamental moods such as anxiety and boredom initiate human existence, and that mood is no longer an irrational emotion but a fundamental mode of existence.


기분(Mood)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존재와 존재의 중요성을 드러내며, 불안과 권태 등 근본적인 기분이 인간 존재의 시작이며, 기분은 더 이상 비합리적인 감정이 아니라 근본적인 존재 방식임을 시사한다.



 For Heidegger, 'fundamental mood' (Grundstimmung)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goes beyond simple emotions or psychological states and reveals the fundamental mode of human existence. Fundamental moods such as anxiety and boredom reveal human existence and become the key to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하이데거에게 '근본적 기분'(Grundstimmung)은 단순한 감정이나 심리적 상태를 넘어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방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개념이다. 불안, 지루함 등 근본적인 기분은 인간의 존재를 드러내며, 존재와의 관계를 밝히는 열쇠가 된다.



In his book “The Essence of Truth,” Heidegger explains the mood as “freedom as it is involved in the unconcealment of the entire being, which makes all attitudes already exist…” This sentence is a key part that reveals the truth of existence, that is, the essence of freedom that makes Aletheia possible. Heidegger sees freedom not simply as an act of choosing something, but as an active involvement in the unconcealment of the entire being.


하이데거는 자신의 저서 '진실의 본질'에서 기분을 '모든 태도를 이미 존재하게 만드는 전체 존재의 은폐 해제에 포함되는 자유'라고 설명한다. 이 문장은 존재의 진실, 즉 알레테이아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의 본질을 드러내는 핵심 부분이다. 하이데거는 자유를 단순히 무언가를 선택하는 행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존재 전체의 은폐 해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봅니다.



Moods and atmospheres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s. This is because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cultural environm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istorical events affect individual emotions.



시대에 따라 기분이나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적 환경, 기술의 발전, 역사적 사건 등 다양한 요인이 개인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4:41
지금 재생 중
나중에 볼 동영상
현재 재생목록에 추가



























In particular, it i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e.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states that in an isolated system, entropy, or disorder, increases with time. Therefore, the fact that the present tends to be more chaotic and disorderly than the past can be thought of in relation to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특히 이는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일치합니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고립계에서는 엔트로피 또는 무질서가 시간에 따라 증가합니다. 그러므로 현재가 과거보다 더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경향이 있다는 사실은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Essentially, what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means is this: Everything in the universe starts with a certain structure and value and moves into a state of disorderly chaos and waste, and it is impossible to reverse this direction.

 Entropy i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useful energy in a system in the universe is converted into a useless form.


 According to the law of entropy, greater disorder must be cre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ther on Earth or in space.



본질적으로 열역학 제2법칙이 의미하는 바는 우주의 모든 것은 일정한 구조와 가치로 시작하여 무질서한 혼돈과 낭비의 상태로 나아가며, 이 방향을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엔트로피는 우주의 시스템에서 유용한 에너지가 쓸모없는 형태로 변환되는 정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르면 지구에서든 우주에서든 주변 환경에는 더 큰 무질서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To put it simply, just a few decades ago, even an ignorant gangster would run away if an adult in the neighborhood gave him a word of advice. 

 These days, students at prestigious universities are randomly assaulting people in their 70s.


Emotional songs and movies from decades ago were successful. 

Nowadays, movies and songs like Squid Game are taking over the world.


쉽게 말하면,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무식한 깡패라도 동네 어른이 조언 한마디만 하면 도망가곤 했다. 

 요즘 명문대 학생들이 70대 노인들을 무작위로 폭행하고 있습니다.


수십 년 전의 감성적인 노래와 영화는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요즘에는 Squid Game과 같은 영화와 노래가 전 세계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Some studies report that the nutritional content of plants and vegetables has decreased compared to decades ago.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such changes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such as lack of nutrients in the soil, breed improvement, and cultivation methods.


일부 연구에서는 식물과 채소의 영양 성분이 수십 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고 보고합니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토양의 영양분 부족, 품종개량, 재배방법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human sperm count and quality are declining.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정자 수와 질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creased entropy is cited as one piece of evidence that the Earth and the universe are aging like humans.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states that in an isolated system, entropy always increases, which means that the degree of disorder increases. Looking at the universe as a whole, it shows a tendency to change from an ordered state to a disordered state over time, which is also connected to the concept that the universe is aging.


엔트로피 증가는 지구와 우주가 인간처럼 늙어가고 있다는 증거 중 하나로 꼽힌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고립계에서는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하며, 이는 무질서의 정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주를 전체적으로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서 있는 상태에서 무질서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우주가 늙어가고 있다는 개념과도 연결된다.







3:30
지금 재생 중
나중에 볼 동영상
현재 재생목록에 추가





1959 film Ben-Hur 


It is a remake in 2016, and the feel, including the actors, is incomparab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t also appears in the 1973 film Papillon.

There was a remake in 2017, but it was much worse than the original. 

There are various reasons why a remake movie is worse than the original, but the biggest reason is that it does not properly maintain the core values ​​or charm of the original, or does not satisfy existing fans due to a lack of new attempts. 


First of all, I think that the decline in mood and emotion in the scenes and performances of actors and actresses from different eras is related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at is,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1959년 영화 벤허 


2016년 리메이크작인데, 배우들을 비롯한 느낌이 원작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르다. 

1973년 영화 빠삐용(Papillon)에도 등장합니다.

2017년에 리메이크가 있었지만 원작보다 훨씬 나빴다. 

리메이크 영화가 원작보다 못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원작의 핵심가치나 매력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거나, 새로운 시도가 부족해 기존 팬들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이다. 


우선, 서로 다른 시대의 배우들의 장면과 연기에서 기분과 감정의 저하가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It is believed that basic human emotions vary from person to person over time because entropy increases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So I think fundamental human emotion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young people today or even decades ago. 


Of course, people who lived decades ago have already lost the feeling of those times. 

If they are still alive,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is that entropy increases toward disorder. 

Like the youth of today, they will lose their former innocence and feel a sense of disorder and dusty corruption.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엔트로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다고 믿어집니다.


그래서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은 오늘날이나 심지어 수십 년 전의 젊은이들의 감정과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십년 전에 살았던 사람들은 이미 그 시대의 느낌을 잃어버렸습니다. 

그들이 아직 살아 있다면 열역학 제2법칙은 무질서 쪽으로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오늘날의 젊은이들처럼 그들은 예전의 순수함을 잃고 혼란스러운 느낌과 먼지 섞인 부패함을 느낄 것입니다.


The romance of photos of the past has to do with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Entropy refers to the tendency of a system to become disordered over time, and the feeling of romance in the process of the past changing and disappearing over time is associated with this increase in disorder. In other words, as a specific moment in the past deteriorates or disappears over time, we feel longing and romance for that moment.



과거 사진에 대한 낭만은 엔트로피 증가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이 무질서해지는 경향을 의미하며, 과거의 모습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사라지는 과정에서 낭만을 느끼는 것은 이러한 무질서의 증가와 연관됩니다. 즉, 과거의 특정 순간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질되거나 사라져 가는 과정에서 그 순간에 대한 그리움과 낭만을 느끼는 것입니다. 




지금 재생 중




3:58
지금 재생 중
나중에 볼 동영상
현재 재생목록에 추가










The actors who appeared in movies in the past have a very different atmosphere and appearance from the actors of today, but the background of the movie has also changed so much that it cannot be reproduced now. According to the law of increasing entropy, the current Earth's environment is much more polluted than in the past, and you can see on the screen that the Earth is aging.


과거 영화에 출연했던 배우들은 지금의 배우들과는 분위기와 외모가 많이 다르지만, 영화의 배경 역시 지금은 재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바뀌었다.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에 따라 현재 지구 환경은 과거에 비해 훨씬 더 오염되어 있으며, 지구가 노화되고 있음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The reason why time is precious is that once time has passed, it cannot be returned, and it is related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law of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states that in an isolated system, time flow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entropy, which means that time cannot be reversed. 


Not only does time pass, but the Earth, the universe, and humans all age, so even the same space and people change.


시간이 소중한 이유는 한번 지나간 시간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며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의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고립계에서는 시간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흐르므로 시간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시간은 흐르고, 지구도, 우주도, 인간도 모두 늙어가기 때문에 같은 공간, 사람도 변한다.



Even though everything in the world changes, God does not change, and the truth that His truth is always true does not change. This is something consistently emphasized in the Bible. The belief that God is the sa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and that His words and promises will always come true, is an important part of a life of faith.


세상의 모든 것이 변해도 하나님은 변하지 않으시며, 그분의 진리가 언제나 진리라는 진리도 변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성경에서 일관되게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하나님은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며, 그분의 말씀과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지리라는 믿음은 신앙생활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Even with modern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perfectly reproduce celadon with the same shape and color as Goryeo celadon. The reason is that the glaze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produces the unique color of Goryeo celadon, the sophistication of the inlay technique,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iln environment of that era worked together.

현대의 기술로도 고려청자와 동일한 형태와 색상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고려청자의 독특한 색감을 만들어 내는 유약 제조 기술과 상감기법의 정교함, 그리고 그 시대 가마 환경의 독특한 특성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이다.



The photo below is a replica of a Damascus sword.  
As far as I know, there is currently not a single genuine Damascus sword.
아래 사진은 다마스커스 검의 복제품입니다.  
제가 아는 한, 현재 정품 다마스커스 검은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Who can recreate the pyramids with modern science?

누가 현대과학으로 피라미드를 재현할 수 있겠는가?


If you look at the southeastern sky in the spring evening, you can see the Orion constellation rising near the horizon in the shape of an hourglass. The three stars corresponding to Orion's waist are called Orion's Belt. 

The Great Pyramid (estimated to be 2500 B.C.) is known as the tomb of King Khufu of Egypt. There is still disagreement in the academic world about when the Great Pyramid was built. The pyramid shocked the academic world when it was discovered that the three pyramids called the pyramids of Khufu, his son, and his grandson coincide with the positions of the three stars in the Orion constellation.


봄 저녁 남동쪽 하늘을 보면 지평선 가까이 모래시계 모양으로 오리온자리가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리온의 허리에 해당하는 세 별은 '오리온의 허리띠'라고 불립니다.

대피라미드(기원전 2500년으로 추정)는 이집트 쿠푸 왕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피라미드의 정확한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아직 의견이 분분합니다. 쿠푸 왕과 그의 아들, 그리고 손자의 피라미드라고 불리는 세 개의 피라미드가 오리온자리의 세 별의 위치와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 피라미드는 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One astronomer speculated that the pyramids might have been built when these stars were directly above them. Assuming this, he calculated that the pyramids were built around 1450 B.C. By coincidence or not, the Milky Way was spread out in the sky at that time, almost overlapping the Nile River.

한 천문학자는 이 별들이 바로 위에 있을 때 피라미드가 지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그는 이를 가정하고 피라미드가 기원전 1450년경에 지어졌다고 계산했습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은하수는 하늘에 펼쳐져 나일강을 거의 덮고 있었습니다.



What though the radiance was once so bright

Be now forever taken from my sight

Though nothing can bring back the hour

of splendour in the grass, of glory in the flower

We will grieve not, rather find Strength in what remains behind;

In primal sympathy

which having been must ever be,

In the soothing thought that spring

out of human suffering

In the faith that looks through death

In years that bring the philosophic mind.



- William Wordsworth의 Ode on Intimations of Immortality-


한때 그렇게도 찬란했던 빛이었건만
이젠 영원히 나의 시야에서 감추어졌다
초원의 빛과 꽃의 영광 어린 그 시절을 되살릴 수 없지만
우리는 슬퍼하지 않고, 오히려 남아있는 것에서 힘을 얻으리
지금까지 있었으므로 앞으로 있을 본능적인 공감 가운데서
인간의 고뇌에서 샘솟는 위로가 되는 생각들 가운데
죽음을 초월하는 믿음 가운데
지혜로운 생각을 가져다주는 세월 가운데서




나탈리 우드는 일생일대의 열연을 보여준다.



초원의 빛(Splendor in the Grass 61년)





My Sassy Girl is a third-rate movie, but it was a hit thanks to Jeon Ji-hyun's innocent face.

<엽기적인 그녀>는 삼류영화지만 전지현의 청순한 얼굴 덕분에 흥행에 성공했다.

Actors these days look like soulless zombies, like computer programs, but Jeon Ji-hyun 
  There is something about it that feels alive and human.

요즘 배우들은 마치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영혼 없는 좀비처럼 보이지만 전지현은 
  살아있고 인간적인 느낌이 드는 뭔가가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The latitude of the Great Pyramid of Giza is north latitude (29.9792458°N), with the first two digits 29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light (299,792,458 m/s). It is possible that some of the disasters that occurred on the 29th were sacrifices to Lucifer, Satan disguised as an angel of light. 기자 대피라미드의 위도는 북위 (29.9792458°N)의 처음 두 자리 29는 빛의 속도(299,792,458m/s)에 해당합니다. 29일 발생한 재앙의 일부는 빛의 천사로 가장한 사탄인 루시퍼에게 제물을 바쳤을 가능성이 있다.

Illuminati zombie scientists who do not know the origin of life are teaching fantasy novels in textbooks 생명의 근원도 모르는 일루미나티 좀비과학자들이 교과서에 판타지소설을 가르치고 있다

Dark matter, Satan's evil spirit, accounts for most of the mass of the universe. The gravitational attraction of dark matter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and when the human body controlled by Satan's dark matter becomes an adult, its mass increases, gravity increases, and disordered entropy increases, leading to death. Gravity increases disorder entropy. 사탄의 악령인 암흑물질은 우주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암흑물질의 중력적 인력은 우주의 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탄의 암흑물질에 지배되는 인체가 성인이 되면 질량이 증가하고 중력이 증가하며 무질서한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사망에 이른다. 중력은 무질서 엔트로피를 증가시킵니다.